서브메뉴

본문

한약 독성학 3
한약 독성학 3
저자 : 박영철|이선동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
출판년 : 2017
ISBN : 9788926880708

책소개

『한약독성학』 제3권은 한약의 안전성 등급,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근거중심독성학적 이해, 맹독성 동물한약재의 약리와 독성, 표적기관별 한약의 효능 및 작용, 한의학과 시스템생물학을 논한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약독성학 Ⅰ』에서는 독성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소개와 개별 한약재의 약리와 독성에 대해 논하였고 『한약독성학 Ⅱ』에서는 육미지황환(탕), 보중익기탕, 십전대보탕, 귀비탕 등을 포함한 20여 종의 탕제에 대한 약리와 독성에 대해 논하였다. 따라서 한약독성학의 Ⅰ과 Ⅱ는 독성학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개별 한약재 및 탕제에 대한 독성과 약리에 대해 고찰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이번 『한약독성학 Ⅲ』에서는 개별 한약재 및 일부 한약재에 대한 독성 및 약리에 대한 소개가 있지만 3권의 한약독성학 시리즈 중에서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한약의 안전성등급화를 위한 근거중심독성평가(evidence based toxicity evaluation)에 대한 내용까지를 담았다. 그와 함께 한의학에 대한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응용을 위한 고찰을 담아냈다. 오늘날의 시스템생물학은 한의학의 근거중심접근(evidence based approach)을 위해 반드시 이해할 필요성이 있는 중요한 분야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발간하면서

제1부 한약의 안전성 등급
제1장 한약독성연구의 국제적 현황과 안전성등급화 방안
1. 의료체계에서 한약의 국제적 동향
1) 한의학과 보완대체의학의 정의
2) 보완대체의학의 국제적 현황
2. 독성 한약재 관리에 대한 세계적 동향
1) 미국
2) 호주
3) 유럽
4) 중국
3. 독성 한약재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성등급화
1) 안전성등급화의 개념과 필요성
2) 한약의 안전성등급화를 위한 근거중심독성평가
3) 위험-편익분석을 통한 근거중심독성평가
4) 독성의 중증도에 의한 근거중심독성평가기준
5) 한약의 임상자료 및 비임상자료를 통한 근거중심독성평가기준
6) Kim 등의 근거중심독성평가에 의한 중의약의 안전성등급화
4. 한약 등급화를 위한 evidence based approach(또는 HED-based MOS)
1) 인체등가용량
2) LD50의 인체등가용량으로의 전환
3) HED-based 치료지수(HED-based therapeutic index)
4) HED-based 치료지수의 문제점
5) LD50와 ED50을 이용한 HED-based 치료지수의 개선방안 또는 MOS
6) LD1와 ED99를 이용한 HED-based MOS
7) 최신 중약의 등급화 경향과 HED-based MOS에 따른 한약등급화의 분류

제2장 한약재의 HED-based MOS에 따른 등급화
1. 한약재의 안전성등급화 방법
1) HED-based MOS
2) 안전성등급화(safety classification)
2. Aristolochic acid 성분이 포함된 한약재의 안전성등급화
1) 마두령
2) 광방기
3) 세신
3. Aconitine 성분이 함유된 한약재의 안전성등급화
1) 부자
2) 초오
4. 생체전환(biotransformation)을 통해 독성대사체를 생성하는 한약재의 안전성등급화
1) 한약재의 독성대사체에 대한 개념
2) 활성중간대사체를 생성하는 한약재에 대한 이해
3) 천궁
4) 당귀
5. 다빈도로 사용하는 한약재의 HED-based MOS에 의한 안전성등급화
1) 감초
2) 숙지황

제2부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근거중심독성학적 이해(evidence based toxicological approach)
1. 서양의학의 항상성과 질병에 대한 한의학적 이해
2. 양방에서 주장하는 한약의 약인성간손상과 발생률
3. 한약과 양약의 약인성간손상 기전
4. 약인성간손상 출발의 공통기전
5. 약인성간손상의 형태
6. 양약과 한약 등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방어기전
7. 양약과 한약에 의한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예방과 치료 비교
8. 한약에 의한 약인성간손상 예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제3부 맹독성 동물한약재의 약리와 독성
제1장 봉독
1. 구성성분
2. 주요 구성성분의 특성
1) Melittin
2) 효소
3) Apamin
4) Mast cell degranulating(MCD) peptide
5) Adolapin
3. 봉독의 의학적 용용
1) 항염증 및 면역억제 효능
2) 기타 효능
4. 봉침의 독성 및 의학적 부작용
5. 봉독에 의한 아나필라시스 알레르기반응
1) 기전
2)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하는 단백질
3) 증상
4) 주의사항 및 응급처치
5) 봉독의 알레르기 테스트
6. 안전성 및 안전용량
1) 양봉인의 빈번한 질환
2) 봉독에 의한 사망률
3) 봉독의 LD50
4) 봉독의 안전성 등급

제2장 사독
1. 구성성분
1) 단백질 또는 효소
2) 폴리펩티드
2. 독성기전
1) 신경독소
2) 혈독소
3) 심장독소
3. LD50과 안전성

제3장 반묘
1. 주요 성분
2. 독성기전과 임상증상
1) 독성기전
2) 임상증상
3. 반묘의 안전성 등급
4. 반묘의 의료사고
1) 반묘에 의한 사망사고
2) 대한한의학협회의 분석

제4장 오공
1. 구성성분
2. 독성 및 임상 증상
3. LD50과 안전성 등급
1) LD50
2) 안전성 등급

제4부 표적기관별 한약의 효능 및 작용
제1장 난임과 한약
1. 난임(infertility)의 현황 및 특성
2. 난임과 한약재
1) 한약처방에 의한 임신성공률
2) 승마의 임신성공률
3) 그 외 식물추출물

제2장 신경손상과 한약재
1. 뇌졸중 후 뇌신경손상과 한약재
1) 뇌신경손상의 분자적 기전
2) 뇌졸중 후 신경손상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재
2. 알츠하이머 질환에서의 신경손상과 한약재
1) 발생기전
2) 약물과 개발기전

제5부 한의학과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제1장 시스템생물학의 개념
제2장 시스템생물학의 구성
제3장 한의학과 시스템생물학
제4장 한의학에서 시스템생물학의 응용 및 흐름

제5장 유전체학과 한의학
1. 유전체의 개념
2. 유전체학의 개념
1) 인간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HGP)
2) 햅맵 프로젝트(International HapMap Project)
3) 1000 유전체 프로젝트(1000 Genomes Project)
3. 유전체학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
4. 유전체학의 방법과 SNP의 중요성
5. 유전체학의 기술적 방법
1) 유전체 지도작성(genome mapping)
2) 염기서열분석(nucleotide sequence analysis)
3) 유전자기능분석(gene functional analysis)

6. SNP(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의 개념과 이해
1) SNP의 개념
2) SNP 해석의 의미
3) SNP 종류
7. SNP 해석을 위한 응용 방법
1) 연관불평형의 개념
2) SNP의 위치에 따른 block과 haplotype
3) SNP 빈도와 major/minor frequency
4) 연관불평형과 SNP 해석의 응용
8. 유전체학에서 한의학의 응용
1) 유전체학과 사상체질론
2) 유전자 다형성을 통한 사상체질론의 유전체학연구 방법
3) 유전자 다형성을 통한 사상체질론의 유전체학연구 결과
9. 중의학 체질론과 유전체학
10. 한의학의 증(syndrome)과 유전체학

제6장 한의학과 전사체학
1. Aflatoxin B1과 유전자 발현
2. 한약의 약리효능에 대한 전사체학적 접근
3. 에스트로겐 핵수용체와 한약의 전사체학적 접근
4. 한약의 핵수용체 영향에 대한 네트워크
5. 한약의 핵수용체 영향을 통한 대사조절

제7장 한의학과 단백질체학
1. 단백질체학의 개념
2. 한약 탕제의 간보호효능에 대한 단백질체학적 접근

제8장 한의학과 대사체학
1. 대사체학의 개념
2. 한약 투여에 의한 대사체학적 접근

제9장 임상에서 한약독성평가를 위한 시스템생물학의 응용
제10장 In silico연구에 대한 이해와 한약과 시스템생물학과의 연구방향
1. In silico연구의 개념과 한약의 데이터베이스
2. 한약성분과 간독성에 대한 in silico연구의 예
1) 방법
2) 결과
3. 시스템생물학을 적용한 한의학의 연구방향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