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수목의학
수목의학
저자 : 이경준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5
ISBN : 9788952116963

책소개

▶ 이 책은 수목의학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수목의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책 소개

‘수목의학(樹木醫學, arbormedicine) ’에 관한 국내 최초의 책


이 책은 수목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병해충 진단, 치료, 예방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대학 교재로 활용되도록 기획하였다. 수목의 구조와 기능과의 연관성, 정상적인 수목생장의 생리적 해석, 발병, 진단, 전염성 병, 비전염성 병, 해충, 치료, 방제, 예방, 건강관리법 등을 총 482장의 컬러사진을 첨부하여 서술하였다.

수목의학은 수목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병해충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이를 예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식물의학의 한 분야이다. 과수는 오래전부터 원예학(horticulture)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수목의학은 산림수목과 조경수(造景樹, landscape tree)를 대상으로 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목재 생산을 위한 산림수목보다 도시에 식재한 조경수를 더 중요하게 다루기 때문에 도시수목관리학(都市樹木管理學, arboriculture)의 특수 분야라고도 할 수 있다.
수목의학은 그 역사가 짧고 이에 대한 학문도 초보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수목의학은 식물의학에는 없는 고유한 영역이 있다. 수목 고유의 전염성 병, 줄기 궤양, 수간 천공성 해충, 잦은 기상재해와 각종 인위적 피해, 이로 인한 비전염성 병의 진단과 치료, 전정(가지치기), 줄기 상처의 보호, 수간주사, 수간과 뿌리의 외과수술 등의 독특한 기술을 다룬다.
수목의학에 관한 지식은 산림보호와 수목관리에 관련된 많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최근 전국에 나무병원이 230개가량 개업 중이며, 나무병원에 종사하는 많은 수목전문가(나무의사)들이 수목의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나 마땅한 교재가 없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 전국에 개장했거나 준비 중인 450개의 골프장에서 그린 키퍼들이 조경수의 병해충을 담당하고 있다. 산림청 산하 기관에는 많은 산림보호담당자가 있으며, 이들에게 병해충 방제 업무는 핵심과제이다. 전국 220개의 지방자치단체의 공원녹지과와 시설관리공단의 공무원들이 녹지, 산업단지, 고속도로, 수리시설의 가로수, 공원수, 조경수, 재해방지림과 수원함양림에서 수목의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 전국 350개 대학(교) 중에서 200개 대학이 캠퍼스를 운영하면서 수목관리 전문가를 배치하고 있다. 전국의 주요 건설회사는 조경전문팀을 운영하면서 조경공사와 조경수의 사후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이 책의 주요 목적은 수목의학을 공부하는 학도들에게 수목의학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국 대학교 식물의학 및 산림보호학 전공 교수와 학생, 수목보호 관련 연구소, 나무병원의 수목 진료 전문가, 식물보호기술자, 수목보호기술자 및 나무의사 자격시험 응시자, 골프장, 지자체 공원녹지과, 대학교 캠퍼스, 건설회사 등의 조경 담당자, 숲 해설가 등에게 유익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수목의학의 역사

1-1 의학과 수의학
1-2 식물의학
1-3 수목의학
1-4 외국 수목의학의 발달 역사
1-5 국내 수목의학의 발달 역사

제2장 수목의 구조

2-1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

2-2 수목의 특성
2-2-1 동물과 식물의 차이
2-2-2 초본식물과 목본식물의 구분
2-2-3 수목의 특징

2-3 수목의 연령별 형태

2-4 수목의 기본구조
2-4-1 세포-조직-기관
2-4-2 수목의 기본형
2-4-3 잎
2-4-4 기공
2-4-5 눈
2-4-6 줄기
2-4-7 뿌리
2-4-8 살아 있는 조직과 죽어 있는 조직

제3장 수목의 생장

3-1 수목의 생장점

3-2 수고생장과 수고생장형
3-2-1 고정생장
3-2-2 자유생장
3-2-3 수고생장형의 변화
3-2-4 수목의 계속 자라는 특성
3-2-5 수고생장의 한계

3-3 직경생장
3-3-1 목부와 사부의 생산
3-3-2 형성층의 세포분열 방식
3-3-3 형성층에서 만들어진 세포의 분화
3-3-4 형성층의 계절적 생장

3-4 뿌리생장
3-4-1 뿌리의 분포
3-4-2 토양 내 산소공급의 중요성
3-4-3 뿌리의 신장 속도
3-4-4 뿌리의 수명
3-4-5 뿌리의 계절적 생장

3-5 생식생장
3-5-1 유형기
3-5-2 유형의 특징
3-5-3 수목의 꽃과 수목 분류
3-5-4 개화 결실 소요기간

제4장 수목의 생리

4-1 햇빛에 대한 생리적 반응
4-1-1 광주기
4-1-2 광질
4-1-3 광도
4-1-4 양수와 음수
4-1-5 양엽과 음엽

4-2 에너지 대사
4-2-1 광합성
4-2-2 수목의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4-2-3 호흡
4-2-4 수목의 호흡에 영향을 주는 요인

4-3 물질이동과 배분
4-3-1 무기양분의 흡수와 이동
4-3-2 탄수화물(주로 설탕)의 이동

4-4 수분 생리
4-4-1 수분 흡수
4-4-2 증산작용
4-4-3 수액 상승

4-5 유기물 대사
4-5-1 탄수화물의 기능과 전환
4-5-2 지질의 분포와 기능
4-5-3 단백질과 질소 대사

4-6 무기영양
4-6-1 무기양분의 종류와 역할
4-6-2 무기양분의 분포
4-6-3 무기양분의 계절적 변화
4-6-4 수종에 따른 무기양분의 요구

4-7 식물호르몬 생리
4-7-1 식물호르몬의 정의
4-7-2 식물호르몬의 종류와 역할
4-7-3 식물호르몬의 내적 생장 조절

4-8 개화 생리
4-8-1 생식생장과 영양생장의 관계
4-8-2 결실 주기
4-8-3 성결정
4-8-4 기후와 생식생장과의 관계

제5장 수목의 발병

5-1 수목의 병
5-1-1 수목의 정상적인 상태
5-1-2 수목의 비정상적인 상태
5-1-3 수목 병에 의한 생리적 변화

5-2 수목 병의 원인 분류
5-3 병해충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5-4 발병기작
5-4-1 접종과 포자 발아
5-4-2 기주 부착과 인식
5-4-3 침입과 물질 분비
5-4-4 병원체의 기주 내 파급

5-5 환경 영향과 발병
5-5-1 온도
5-5-2 습기, 강우량과 건조
5-5-3 바람
5-5-4 햇빛
5-5-5 기주의 영양상태
5-6 수목 피해의 결과: 죽은 부분과 산 부분의 분리

제6장 수목의 병해충 진단

6-1 인체 진단의학과 수목 진단의학
6-2 진단전문가의 자세
6-3 피해발생상황 조사
6-4 수목 진단 기구

6-5 검사실 분석과 조사
6-5-1 엽분석
6-5-2 토양분석
6-5-3 수질분석
6-5-4 병원균 배양과 검경

6-6 샤이고메터

6-7 진단과정
6-7-1 조경수 병의 진단
6-7-2 전염성 병의 확진
6-7-3 발병시기 진단

6-8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의 구별
6-8-1 전염성 병의 특징
6-8-2 비전염성 병의 특징

6-9 병징과 표징
6-9-1 병징
6-9-2 표징
6-9-3 병징과 표징을 활용한 전염성 병의 진단

6-10 해충 피해진단
6-11 피해원인별 병징과 진단법


제7장 수목의 전염성 병

7-1 수목 전염성 병원균의 종류
7-2 전염성 병의 발병 부위와 공통 병징에 따른 분류

7-3 곰팡이병
7-3-1 수목 병원성 곰팡이 분류
7-3-2 수목 기주별 전염성 병의 다양성
7-3-3 잎에 발생하는 곰팡이병
7-3-4 줄기에 발생하는 곰팡이병
7-3-5 뿌리에 발생하는 곰팡이병
7-3-6 녹병
7-3-7 시들음병
7-3-8 목재 부후 및 변색

7-4 세균병
7-4-1 세균의 특성
7-4-2 세균에 의한 발병
7-4-3 세균에 의한 수목병

7-5 바이러스병
7-5-1 형태와 병징
7-5-2 전파와 병의 종류

7-6 파이토플라스마병
7-6-1 오동나무 빗자루병
7-6-2 대추나무 빗자루병

7-7 선충병
7-7-1 뿌리혹선충
7-7-2 뿌리썩이선충
7-7-3 소나무류 재선충병

7-8 조류에 의한 병
7-9 기생식물에 의한 병
7-10 주요 조경수의 주요 전염성 병


제8장 수목의 해충

8-1 곤충의 특성
8-2 곤충의 분류
8-3 해충의 종류
8-4 가해습성에 의한 해충의 분류
8-5 피해증상과 가해흔적에 의한 해충 구분
8-6 주요 조경수 해충의 종 다양성

8-7 국내 주요 해충
8-7-1 식엽성 해충
8-7-2 흡즙성 해충
8-7-3 천공성 해충
8-7-4 충영형성 해충
8-7-5 종실 및 구과 해충
8-7-6 뿌리해충
8-7-7 주요 조경수의 수종별 주요 해충


제9장 수목의 비전염성 병

9-1 기상적 요인에 의한 병
9-1-1 고온
9-1-2 저온
9-1-3 기후변화 동계건조
9-1-4 풍해
9-1-5 침수
9-1-6 조풍
9-1-7 해일
9-1-8 설해와 우박
9-1-9 낙뢰
9-1-10 일조량 부족

9-2 토양적 요인에 의한 병
9-2-1 건조
9-2-2 과습
9-2-3 양분결핍
9-2-4 극단적인 토양산도
9-2-5 중금속

9-3 생물적 요인에 의한 병
9-3-1 만경식물
9-3-2 착생식물
9-3-3 동물

9-4 인위적 요인에 의한 병
9-4-1 답압
9-4-2 도로포장
9-4-3 기계와 장비
9-4-4 휘감는 뿌리(권근)와 갇힌 뿌리
9-4-5 심식
9-4-6 복토와 석축
9-4-7 절토
9-4-8 대기오염
9-4-9 농약과 비료
9-4-10 잘못된 가지치기(전정)
9-4-11 해빙염
9-4-12 유해 가스
9-4-13 건물세척제와 화학물질
9-4-14 불
9-4-15 접목불화합성
9-4-16 이식 후유증

9-5 기타 요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현상
9-5-1 조기낙엽과 조기단풍
9-5-2 왜소엽
9-5-3 성전환
9-5-4 노출된 뿌리
9-5-5 돌연변이와 대화현상
9-5-6 옹이와 다아현상
9-5-7 연리지

제10장 수목의 치료

10-1 수간주사
10-1-1 수간주사의 특징과 원리
10-1-2 수간주사 방법
10-1-3 약액 조제

10-2 엽면시비
10-3 토양관주

10-4 부러진 가지 치료: 전정
10-4-1 과거 전정의 문제점
10-4-2 새로운 전정법: 자연표적전정: 가지밑살 남기기
10-4-3 전정 시기
10-4-4 전정 후 상처보호: 상처도포제
10-5 수피 상처치료
10-5-1 상처 부위 손질과 보호
10-5-2 들뜬 수피의 고정
10-5-3 수피이식
10-5-4 교접

10-6 수간외과수술
10-6-1 외과수술의 배경
10-6-2 수간 부패와 공동 탐
10-6-3 외과수술의 개요
10-6-4 수간외과수술 방법

10-7 뿌리 외과수술
10-7-1 뿌리 부패의 진단
10-7-2 뿌리 외과수술 방법

10-8 지지보조물 설치
10-8-1 지주
10-8-2 쇠조임
10-8-3 줄당김
10-8-4 당김줄 설치

제11장 수목의 병해충 방제

11-1 수목의 병해충 저항성
11-1-1 화학물질 생산
11-1-2 물리적 방어벽 형성

11-2 국가적 및 법적 방제
11-3 유전적 방제

11-4 생물적 방제
11-4-1 천적 활용
11-4-2 길항미생물 활용

11-5 재배적 방제
11-6 매개충 제거
11-7 기계적 방제

11-8 화학적 방제
11-8-1 농약의 분류
11-8-2 종자소독
11-8-3 토양소독
11-8-4 온실소독
11-8-5 전염성 병의 화학적 방제
11-8-6 해충의 화학적 방제

제12장 수목의 건강관리

12-1 수목의 자연방어능력

12-2 환경스트레스와 수목의 건강
12-2-1 제엽과 건강
12-2-2 시비와 내병충성
12-2-3 건조와 내병충성
12-2-4 그늘과 내병충성
12-2-5 환경스트레스와 천공성 해충의 피해

12-3 식물건강관리
12-3-1 종합적병해충관리와 식물건강관리와의 관계
12-3-2 식물건강관리 프로그램

12-4 건강증진을 위한 수목관리
12-4-1 수종 선정
12-4-2 햇빛관리
12-4-3 수형 조절
12-4-4 토양관리
12-4-5 하층식생 관리
12-4-6 균근 활용

인용 및 참고 문헌

찾아보기
국문
영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