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학술적 토대 연구(무형유산정보연구소 학술총서 3)(양장본 HardCover) (전통문화의 상징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학술적 토대 연구(무형유산정보연구소 학술총서 3)(양장본 HardCover) (전통문화의 상징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저자 :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0
ISBN : 9788928514076

책소개

▶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학술적 토대 연구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발간사|이희숙

서 문|함한희



1부|상징과 정체성



국가상징國家象徵 |김형민

Ⅰ. 국호

Ⅱ. 태극기太極旗

Ⅲ. 우리나라의 국가國歌, ‘애국가愛國歌’

Ⅳ. 무궁화



민요 아리랑-한반도의 과거와 미래 간의 감정 단결 매개체-|이희숙

Ⅰ. 서문

Ⅱ. 무형문화유산

Ⅲ.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나타난 한국인의 감정

Ⅳ. 아리랑, 한국 서정 민요

Ⅴ. 아리랑 기원에 관한 의견과 역사

Ⅵ. 감정 이론의 개념화

Ⅶ. 결론



한국 호랑이의 문화 상징적 가치와 의미|강석근

Ⅰ. 머리말

Ⅱ. 한국 호랑이의 특징

Ⅲ. 한국 호랑이의 상징과 가치

Ⅳ. 마무리-호랑이 상징의 미래



쌀과 한국인-쌀을 둘러싼 중층적 의미의 해석-|함한희

Ⅰ. 서문

Ⅱ. 벼농사의 약사略史

Ⅲ. 쌀과 김치

Ⅳ. 모·벼·쌀·밥

Ⅴ. 벼: 하늘이 내린 것

Ⅵ. 상품으로서의 쌀

Ⅶ. 밥과 식구

Ⅷ. 맺는 말



한국 장醬문화의 특징과 의미-간장과 된장을 중심으로-|최명환

Ⅰ. 머리말-장醬에 대한 소개

Ⅱ. 한국 장醬문화의 특징

Ⅲ. 장의 인류 문화적 가치

Ⅳ. 맺음말-장의 미래



문학을 통해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인물 고찰-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문학작품 속에 담아낸 작가 이미륵을 중심으로-|진상범

Ⅰ. 들어가는 말

Ⅱ. 과연 세계화할 만한 한국문화의 정체성이 존재하는가?

Ⅲ. 예술작품을 통해 드러난 한국문화의 정체성

Ⅳ. 이미륵 작가의 문학 작품의 인류문화적 의미

Ⅴ. 결론



2부|유산화와 유산의 활용



죽음을 통과하는 상징적 의례, 씻김굿의 예술성|박미경

Ⅰ. 한국의 전통의례, 씻김굿

Ⅱ. 씻김굿의 구조와 구성, 그리고 그 절차적 기능과 연행적 실제

Ⅲ. 죽음을 통과하는 씻김굿의 상징성, 정화와 해원

Ⅳ. 씻김굿음악의 예술성, 그리고 그 항상성恒常性(Homeostasis)의 붕괴

Ⅴ. 전통과 다른 정체성으로 움직이는 현대 씻김굿



동해안 오구굿의 축제적 성격|윤동환

Ⅰ. 서론

Ⅱ. 오구굿의 제차와 구성

Ⅲ. 오구굿에서의 삶과 죽음 인식

Ⅳ. 오구굿의 축제성

Ⅴ. 결론



한국 놀이종목의 문화재화에 따른 변화와 의미|정성미

Ⅰ. 한국의 문화재법과 전통놀이 종목

Ⅱ. 마을 공동체 놀이의 ‘문화재화’에 따른 변화

Ⅲ. 풍류風流의 문화재화에 따른 변화와 의미

Ⅳ. 등록문화재의 변화에 따른 ‘놀이’ 문화재 발굴의 의미

Ⅴ. 어린이 놀이유물 사례로 본 등록문화재적 가치와 향후과제

Ⅵ. 한국의 놀이 전승과 보호방책의 주요 특징



보부상유산의 상징과 가치 |이창식

Ⅰ. 보부상의 공동체 상징

Ⅱ. 기록유산으로서 보부상의 조직과 활동

Ⅲ. 무형유산으로서 보부상의 놀이와 의례 가치

Ⅳ. 보부상유산의 의미와 세계화



사라져가는 음식문화유산-한국 전통 과자 고찰-|오세미나

Ⅰ. 서문

Ⅱ. 조선시대 과자

Ⅲ. 전통 과자의 분류

Ⅳ. 전통 과자의 용처用處

Ⅴ. 맺음말



호남권 템플스테이로 국제관광에 나서다|김성후

Ⅰ. 들어가는 말

Ⅱ. 호남권 템플스테이 현황

Ⅲ. 호남권 템플스테이의 개선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