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산대희와 본산대놀이 (동아시아 산대 전통의 보편성과 한국의 독자성)
산대희와 본산대놀이 (동아시아 산대 전통의 보편성과 한국의 독자성)
저자 : 전경욱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1
ISBN : 9788928516421

책소개

한국, 중국, 일본 모두 산대에 해당하는 무대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앞에서 연희를 펼쳤다
중국에서는 이를 오산鰲山이라고 부르고, 일본에서는 산거山車(다시だし) 등으로 부른다. 산대의 기원은 중국의 전설적 신산神山인 봉래산을 형상화한 것에서 비롯된다. 봉래산은 방장산·영주산과 함께 전설적인 삼신산의 하나로서 바다 위에 떠 있기 때문에 큰 거북이鰲가 등에 지고 있다. 그래서 봉래산을 오산이라고도 부르는 것이다. 일본에는 봉래산 외에 곤륜산을 형상화한 사례도 있다. 산대희는 전통사회에서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연희자들이 흥행을 위해 관중을 상대로 연행하던 공연예술인데, 중국 사신 영접 행사, 왕의 환궁 행사, 내농작 등에서 산대를 설치하고 이것을 공연하면 산대희라고 불렀다. 산대희에 해당하는 연희 종목은 줄타기, 솟대타기, 땅재주, 동물가장가면희, 방울받기, 접시돌리기, 탈춤 등으로서 현대의 서커스에 해당한다. 이 산대희로부터 서울의 산대놀이 가면극인 본산대놀이가 생겨났다.

山臺?與本山臺假面?
이 책에서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산대 관련 그림 및 기록, 산대의 종류 등에 대해 살펴보고, 고려와 조선 시대의 여러 행사에서 산대를 설치하고 연행한 산대희에 관해 고찰했다. 그리고 산대희의 연희자인 재인청才人廳 재인才人, 산대희와 본산대놀이의 연희자인 성균관 반인泮人, 산대희의 연희자인 재인촌才人村 재인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남성관희자南城觀?子〉(1789년)를 통해 서울 본산대놀이의 내용을 살펴보고, 본산대놀이가 여러 지방으로 전파된 양상 및 개화기 이후 본산대놀이의 향방에 대해 고찰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오산鰲山 관련 기록과 그림
1. 한나라 때 성행한 신선사상의 산물로서의 오산
2. 황제의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물로서의 오산
3. 불교·힌두교의 행상의식과 이동식 산거

제3장 일본의 산거山車 관련 기록과 그림
1. 고정형 신산神山
2. 이동형 산거
3. 기관인형機關人形 산거

제4장 한국의 채붕 관련 기록과 그림

제5장 한국의 산대 관련 기록과 그림
1. 산대의 종류
2. 산대를 사용한 행사

제6장 산대희와 본산대놀이의 연희자
1. 산대희의 연희자인 재인청才人廳 재인才人
2. 산대희와 본산대놀이의 연희자인 성균관成均館 반인泮人
3. 산대희의 연희자인 재인촌才人村 재인才人

제7장 서울 본산대놀이의 성립과 전승 양상
1. 18세기 후반 서울 본산대놀이 가면극을 묘사한 〈남성관희자南城觀戱子〉(1789)
2. 본산대놀이와 옴니버스 스타일
3. 본산대놀이의 가면
4. 개화기 이후 본산대놀이의 향방
5. 본산대놀이의 다른 지방으로의 전파

제8장 결론

부록 산대도감극각본山臺都監劇脚本(1930년 3월 17일)
서막序幕 -고사-
제1과정
제2과정 -옴 등장-
제3과정
제4과정
제5과정 -팔목과장-
제6과정 -애사당놀이
제7과정 -노장과정-
제8과정 -말뚝이과정-
제9과정 -취발이과정-
제10과정 -샌님과정-
제11과정 -신할애비과정-

참고문헌 ●
찾아보기 ●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