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국어 문법 교육 내용화 연구
국어 문법 교육 내용화 연구
저자 : 이관희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9
ISBN : 9788930318457

책소개

국어 문법 교육 내용화 연구(Didactic Transposition of Korean Grammar as Education contents)
그간의 문법 교육학 연구는 학문 문법과 변별되는 교육 문법의 자생적 논리를 구축해 온 과정이다. 이 책에서는 그 일환으로 문법 지식을 모종의 실체를 갖춘 교육 내용으로 구현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학습자를 중심에 둔 가운데 교육 내용의 실체적 구현 방향이 정립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학습자의 입장에서의 교육 내용은 일련의 비활성화된 인식으로만 남을 가능성이 높아서 학습자로 하여금 객체적 지식을 어떻게 내면화하여 구성하게 할 것인가가 결국 교육 내용화의 궁극적인 지향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 책에서는 문법 학습을 학습자가 외부의 문법 지식을 내면화해 가는 능동적인 사고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 과정에 개재하는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문법 교육 내용화의 층위와 기제들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즉, 학습자가 문법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과 문법 지식을 교육 내용화하는 과정 사이의 상동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어 형성법’이라는 특정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 조직과 표상의 두 차원으로 구획하여 문법 교육 내용화의 실제를 보였다. 이에 더해, 교육 내용 표상의 중요한 기제 중 하나인 비유의 문제를 별도로 다루었고, ‘언어의 특성’이라는 다소간은 연성화된 교육 내용의 세부 요소를 조직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따로 지면을 할애하였다.
이 책은 모든 교과 교육의 가장 근원적인 목표인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하는 가운데 교육 실행의 구체상 정립을 위한 문법 교육의 이론화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그간 그러할 것으로 간주되었을 뿐 실증적으로 조명되지 못해 왔던 학습자의 문법 지식 구성 양상을 세밀하게 그려 낸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국어 문법 교육 내용화 연구(Didactic Transposition of Korean Grammar as Education contents)

그간의 문법 교육학 연구는 학문 문법과 변별되는 교육 문법의 자생적 논리를 구축해 온 과정이다. 이 책에서는 그 일환으로 문법 지식을 모종의 실체를 갖춘 교육 내용으로 구현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학습자를 중심에 둔 가운데 교육 내용의 실체적 구현 방향이 정립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학습자의 입장에서의 교육 내용은 일련의 비활성화된 인식으로만 남을 가능성이 높아서 학습자로 하여금 객체적 지식을 어떻게 내면화하여 구성하게 할 것인가가 결국 교육 내용화의 궁극적인 지향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 책에서는 문법 학습을 학습자가 외부의 문법 지식을 내면화해 가는 능동적인 사고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 과정에 개재하는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문법 교육 내용화의 층위와 기제들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즉, 학습자가 문법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과 문법 지식을 교육 내용화하는 과정 사이의 상동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어 형성법’이라는 특정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 조직과 표상의 두 차원으로 구획하여 문법 교육 내용화의 실제를 보였다. 이에 더해, 교육 내용 표상의 중요한 기제 중 하나인 비유의 문제를 별도로 다루었고, ‘언어의 특성’이라는 다소간은 연성화된 교육 내용의 세부 요소를 조직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따로 지면을 할애하였다.

이 책은 모든 교과 교육의 가장 근원적인 목표인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하는 가운데 교육 실행의 구체상 정립을 위한 문법 교육의 이론화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그간 그러할 것으로 간주되었을 뿐 실증적으로 조명되지 못해 왔던 학습자의 문법 지식 구성 양상을 세밀하게 그려 낸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부 문법 교육 내용화의 전제



제1장 문법 지식 구성의 개념

1. 문법 교육에서 구성주의의 수용 양상

(1) 목표 층위: 문법 지식의 유용성 강조

(2) 방법 층위: 귀납적 탐구의 강조

2. 문법 지식 구성의 개념 확장

(1) 목표 층위: 외부 지식의 내면화

(2) 방법 층위: 탐구의 외연 확장



제2장 문법 지식 구성의 범주와 기제

1. 문법 지식 구성의 범주

(1) 문법 지식의 개념적 구성

(2) 문법 지식의 관계적 구성

2. 문법 지식 구성의 기제

(1) 개념적 구성을 위한 표상

(2) 관계적 구성을 위한 표상

(3) 관계적 구성을 위한 연결소



제3장 문법 교육 내용화의 기준과 층위

1. 문법 교육 내용화의 기준

(1) 원심력: 학습자의 지식 구성 양상

(2) 구심력: 숙련가의 지식 구성 결과

2. 문법 교육 내용화의 층위

(1) 교육 내용 조직의 층위

(2) 교육 내용 표상의 층위

(3) 조직 및 표상 층위의 중층성



제2부 문법 교육 내용화의 상세화



제1장 표상 층위의 문법 교육 내용화

1. 단일 문법 개념의 표상

(1) 사례의 표상

(2) 비유의 표상

(3) 일상어의 표상

2. 문법 개념 관계의 표상 구조화

(1) 구조적 사례의 표상

(2) 구조적 비유의 표상



제2장 조직 층위의 문법 교육 내용화

1. 정의항 내에 연결 항목 배치

(1) 단원 내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2) 단원 간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2. 조회 지점으로서의 상위 개념 상정

(1) 단원 내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2) 단원 간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3. 구성 거점으로서의 핵심 개념 반복

(1) 단원 내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2) 단원 간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4. 유사 언어 현상의 명명 차이 주목

(1) 단원 내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2) 단원 간의 문법 개념 관계 구성



제3부 문법 교육 내용화의 실제



제1장 문법 교육 내용 표상으로서의 비유

1. 교양 문법서에서 표상한 비유의 양상

(1) 문법 학습의 의의 및 관점에 대한 비유

(2) 언어 형식의 의미기능에 대한 비유

(3) 개별 문법 개념에 대한 비유

(4) 문법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비유

2. 비유적 표상의 문법 교육적 의의와 한계

(1) 핵심 속성의 선택과 문법 지식의 파손

(2) 문법에 대한 직관적 ? 해석적 이해의 가치 제고

(3) 문법 지식 간의 가치 판별 및 구조적 이해



제2장 ‘언어의 특성’의 교육 내용 조직

1. 교육 내용 조직 방향 ① : ‘성취’에 기반한 ‘범위’의 설정

2. 교육 내용 조직 방향 ② : 학습자의 ‘구성’을 위한 ‘계열’의 실현

3. 거시적 차원의 교육 내용 조직



제3장 ‘단어의 형성’의 문법 교육 내용화

1. 조직 층위 문법 교육 내용화

(1) 성취 기준 수준의 조직

(2) 내용 요소 수준의 조직

2. 표상 층위 문법 교육 내용화

(1) 형식적 실체화로서의 표상

(2) 내용적 실체화로서의 표상



참고 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