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회갈등과 역사교육
사회갈등과 역사교육
저자 : 고유경^구난희^김한종^남한호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22
ISBN : 9788946073388

책소개

해석의 산물인 역사적 사실을
세계는 어떻게 교육하고 있는가?

세계 여러 나라는 오랫동안 이념, 계급, 민족, 인종, 종교의 갈등을 안고 살아왔다. 최근에는 세대갈등도 큰 쟁점이 되고 있다. 많은 경우 사회갈등은 과거사 해석 및 교육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
역사교육기초연구공부모임 구성원들이 함께 공부하면서 펴낸 이 책은,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 사회갈등이나 역사 논쟁 문제에 해법을 제시하고자 기획한 것이 아니다.
각 나라마다 사회갈등의 쟁점과 맥락이 다양하고, 사회 체제와 이념은 물론이고 역사문화도 매우 다르다. 역사교육은 각 나라의 고유한 체제, 이념, 문화 등과 상호작용을 하며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한 나라의 해결 방법을 이상화하여 다른 나라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결코 ‘좋은’ 방법이 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한 나라가 사회적 논쟁을 억압하거나 역사를 독점하는 양태가 다른 나라에서 그대로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도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나라마다 다른 사회갈등과 그와 관련된 역사 및 시민 교육 논쟁을 소개함으로써 사회적 다양성이 심화되는 오늘날, 학교에서 어떻게 역사를 교육해야 할지 생각하고 토론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각국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역사 이해의 다양성이 아닌 이해 과정의 다양화를 도모한다

교육과정 개편과 교과서 개발에 국가(nation)나 주(state)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나라에서는 국가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통해 ‘다수’의 시각에서 역사를 독점하거나 ‘소수’의 역사를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 화합을 추구하여 ‘다수’의 시각에서 역사를 가르치면서 ‘소수’의 목소리를 다루려 노력하기도 하고, ‘다수’가 자행한 폭력을 반성하고 ‘소수’와 함께 과거사를 재서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나라도 있다.
한국과 중국은 현대사 해석 문제가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큰 논쟁이 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오키나와 민간인에게 가해진 폭력, 터키의 경우에는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프랑스는 노예제, 독일은 헤레로 전쟁, 인도의 경우는 파키스탄 분립 과정, 캐나다는 원주민 기숙학교 문제, 미국에서는 과테말라에서 일어난 원주민 학살 기억에 대한 역사적 해석, 영국의 경우에는 인종갈등과 테러 등의 사회문제가 역사교육과 시민교육의 향방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역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교육은, 견해의 차이를 억지로 통일하거나 좁히려 하기보다 역사해석의 경험을 통한 다원적 관점의 역사 인식을 통해 화해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 책은 각국의 서로 다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역사 이해의 다양성이 아니라 이해 과정을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1한국의 현대사 갈등과 해방 3년사 교육_김한종
1. 머리말
2. 현대사 갈등의 전개와 성격
3. 해방 3년사 인식의 쟁점과 역사 서술
4. 현대사 갈등 해소를 위한 역사교육
5. 맺음말

02중국의 근현대사 해석 갈등과 국가권력의 개입 _윤세병
1. 머리말
2. 청소년들을 홍위병으로 키울 것인가?
3. 국가의 공식적 역사해석에 대한 도전은 용납할 수 없다!
4. 학문의 외피를 쓴 국가권력의 공론장 왜곡
5. 맺음말

03태평양전쟁기 오키나와 민간인에게 가해진 폭력과 역사해석의 경합_남한호
1. 머리말
2. 태평양전쟁기 오키나와의 비극
3. 오키나와 ‘집단자결’을 둘러싼 해석의 경합
4. 집단자결을 둘러싸고 경합하는 교과서의 관점 두 가지
5. 맺음말

04터키의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부정과 역사 만들기_정재윤
1. 머리말
2. 터키의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부정
3. 터키 교과서 속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4. 맺음말


05프랑스의 노예제 역사교육과 ‘기억법’ _홍용진
1. 머리말
2. 프랑스와 노예무역
3.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노예제와 식민지
4. 역사 교과서와 기억법
5. 맺음말

06독일의 헤레로 전쟁 논쟁과 식민주의 청산의 딜레마_고유경
1. 머리말
2. 상충하는 해석: ‘독일의 특수한 길’인가, 식민주의의 보편사인가?
3. 다원적 관점과 논쟁성의 도입
4. 성찰적 역사의식 함양을 위하여: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헤레로 전쟁
5. 맺음말

07캐나다 정착자 식민주의의 해법 모색: 인디언 기숙학교의 공적 기억화_구난희
1. 머리말
2. 인디언 기숙학교의 실체와 이슈화
3. 기숙학교의 공적 기억화와 역사교육
4. 맺음말

08인도-파키스탄 분립 역사 재구성과 종교 공동체 간의 화합 모색_박소영
1. 머리말
2. 인도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쟁: 세속주의에 대한 도전
3. 힌두-무슬림 공동체의 형성과 갈등의 정치화 및 분립
4. 구술 자료를 통한 분립 역사의 재구성
5. 맺음말

09과테말라 원주민 학살 기억의 소환과 미국의 ‘문화투쟁’_박구병
1. 머리말
2. 과테말라의 내전과 원주민 학살
3. 멘추의 증언
4. ‘문화투쟁’으로서의 멘추-스톨 논쟁
5. 맺음말

10영국의 영국적 가치 교육 논쟁: 시민 내셔널리즘 혹은 인종 제국주의?_강선주
1. 머리말
2. 영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영국 정체성의 창안
3. 영국 민주시민교육의 딜레마
4. 맺음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