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지식의 변화와 지형
지식의 변화와 지형
저자 : 김경남|허재영|김창수|허원기|김영철|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출판사 : 경진출판
출판년 : 2019
ISBN : 9788959962525

책소개

시대별, 사회별, 국가별 지식과 사회 변화의 추이 탐구
과거와 현재의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 지식 사회를 전망하다

학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식과 사상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지식의 변화와 지형 총서는 시대별, 사회별 또는 국가별 지식의 지식과 사회 변화의 추이를 탐구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의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 지식 사회를 전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지식의 변화와 지형≫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가 지향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놓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지식 지형 변화와 관련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에 대하여 김경남 연구교수가 집필하였으며, 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 ‘종교 지식, 형이상학적 지식, 실증 지식과 지형 변화’에 관하여 연구 책임자가 집필하고, 김창수 연구교수가 ‘지식 네트워크와 지식 지형 변화의 상관성’, 연구 책임자 및 김경남 연구교수가 공동으로 ‘지식 지형 변화의 양태와 영향’에 관하여 집필하였다. 제2부에서는 사업단에서 수행한 학문후속세대 석학 초청 원고 및 지식 지형 변화의 실제와 관련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기획하였는데, 허원기 교수의 ‘조선 시대 심성 지식장과 소설 문학’, 김영철 교수의 ‘유이민 시의 디아스포라 상상력과 민족 정체성’, 이건식 교수의 ‘지식 지형의 변화와 탈한자화 문자 생활 시대 한국의 한자 연구 동력’, 윤재환 교수의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 등이 그것이다. 또한 김묘정 연구 보조원의 ‘지식 전달 체계의 한 단면: 명나라 유민 강세작을 기억하는 서사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도 지식 지형 변화의 실제를 보여줄 수 있는 적절한 논문으로 평가하여 본 총서에 수록하기로 하였다.
지식 지형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제 연구의 성과는 본 사업단의 아젠다 연구 범위뿐만 아니라 21세기 지식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식산업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가상현실 체계 등과 관련한 다수의 논의가 기술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에서, 지식 지형의 변화에 대한 인문학적 가치를 탐구하고자 하는 노력은 인간 중심의 지식 사회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당위론적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시대별, 사회별, 국가별 지식과 사회 변화의 추이 탐구

과거와 현재의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 지식 사회를 전망하다



학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식과 사상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지식의 변화와 지형 총서는 시대별, 사회별 또는 국가별 지식의 지식과 사회 변화의 추이를 탐구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의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 지식 사회를 전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지식의 변화와 지형≫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가 지향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놓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지식 지형 변화와 관련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에 대하여 김경남 연구교수가 집필하였으며, 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 ‘종교 지식, 형이상학적 지식, 실증 지식과 지형 변화’에 관하여 연구 책임자가 집필하고, 김창수 연구교수가 ‘지식 네트워크와 지식 지형 변화의 상관성’, 연구 책임자 및 김경남 연구교수가 공동으로 ‘지식 지형 변화의 양태와 영향’에 관하여 집필하였다. 제2부에서는 사업단에서 수행한 학문후속세대 석학 초청 원고 및 지식 지형 변화의 실제와 관련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기획하였는데, 허원기 교수의 ‘조선 시대 심성 지식장과 소설 문학’, 김영철 교수의 ‘유이민 시의 디아스포라 상상력과 민족 정체성’, 이건식 교수의 ‘지식 지형의 변화와 탈한자화 문자 생활 시대 한국의 한자 연구 동력’, 윤재환 교수의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 등이 그것이다. 또한 김묘정 연구 보조원의 ‘지식 전달 체계의 한 단면: 명나라 유민 강세작을 기억하는 서사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도 지식 지형 변화의 실제를 보여줄 수 있는 적절한 논문으로 평가하여 본 총서에 수록하기로 하였다.

지식 지형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제 연구의 성과는 본 사업단의 아젠다 연구 범위뿐만 아니라 21세기 지식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식산업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가상현실 체계 등과 관련한 다수의 논의가 기술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에서, 지식 지형의 변화에 대한 인문학적 가치를 탐구하고자 하는 노력은 인간 중심의 지식 사회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당위론적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지식의 유형과 지식 지형

지식의 유형과 지식 지형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 _ 김경남
1. 서론
2. 지식 분류와 지식 분류학
3. 지식 지형도의 개념과 속성
4. 지식의 유형과 구조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5. 지식 지형의 변화 요인과 특성

종교 지식, 형이상학적 지식, 실증 지식과 지형 변화 _ 허재영
1. 지식과 지식 범주
2. 종교 지식과 지형
3. 형이상학적 지식과 지형
4. 실증적 지식과 지형 변화
5. 지식 지형의 미래: 정보화사회론

지식 네트워크와 지식 지형 변화의 상관성 _ 김창수
1. 지식 네트워크의 개념과 특성
2. 지식 네트워크와 지식 지형의 상관관계
3. 지식 네트워크 지형
4. 맺음말

지식 지형 변화의 양태와 영향 _ 김경남?허재영
1. 지식의 구도와 지형 변화
2. 지식 지형 변화의 양태
3. 지식 지형 변화의 집단성과 사회적 영향


제2부 지식 지형과 변화의 실제

조선 시대의 심성 지식장과 소설문학 _ 허원기
1. 조선 사회를 지배한 심성 지식장
2. 심성 지식의 서사적 길 찾기: 심성 우언소설
3. 정리(情理) 서사 문법의 완성: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4. 감정 처세의 백과사전: 가정소설과 대장편 가문소설
5. 도덕 감정 공동체를 향한 서사적 발자취

유이민 시의 디아스포라 상상력과 민족 정체성 _ 김영철
1. 논점의 제기
2.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발생
3. 유이민 시의 선구자, 이용악
4. 제2의 윤동주, 심연수
5. 유이민 3세대, 홍용암
6. 모국체험의 유이민 시
7. 결론: 한민족 문학으로서의 유이민 시

지식 지형의 변화와 탈한자화 문자생활시대 한국의 한자 연구 동력 _ 이건식
1. 서언(序言)
2. 문자 생활의 탈한자화 과정과 한자 연구
3. 결언(結言)

성호학파를 통해 본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 _ 윤재환
1. 서론
2. 지식인과 지식 집단
3. 성호학파, 새로운 지식 집단의 형성
4. 학파의 변이와 내재된 의미
5. 결론

지식 전달 체계의 한 단면 _ 김묘정
: 명나라 유민 강세작(康世爵)을 기억하는 서사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공적 서사 속 강세작에 대한 기억과 지식의 고착
3. 강세작을 기억하는 사적 서사와 지식의 전달 양태
4. 기억, 서사, 지식 그리고 지식 전달 체계: 맺음말을 대신하여


[부록] 지식 지형의 변화와 근대의 교육사 자료

지식 지형의 변화와 근대의 교육사 자료 _ 김경남?허재영 편역
[1] 아한의 교육 내력: 我韓의 敎育 來歷, ≪조양보≫ 제3호, 1906.7.
[2] 태서교육사: 泰西敎育史, ≪朝陽報≫ 제5호, 1906.8.25.
[3] 태서교육의 사적 고찰: 신정언, ‘泰西敎育의 史的 考察’, ≪동아일보≫, 1921.5.15~6.30.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