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석유화학공업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석유화학공업
저자 : 박영구
출판사 : 해남
출판년 : 20230228
ISBN : 9788962381740

책소개

이 책은 한국 중화학공업화의 핵심 산업인 석유화학공업에 대한 국내외 미공개 자료와 증언을 30여 년에 걸쳐 총괄적으로 발굴하여 원고지 7,000매의 분량으로 집대성한 국내외 최초의 기록연구이다.
‘한강의 기적’을 세계에 확산시킨 기초는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이었다. 중화학공업화를 총괄 추진한 전 대통령비서실장 김정렴 씨와 실무를 총괄한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기획단장 오원철 씨가 저자와의 인터뷰에서도 분명히 하였듯이 한국의 중화학공업화는 석유화학공업 등 6개 주 업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되 주 연구대상 기간을 1970년대로 하고 구체적 대상은 이미 발표한 5개 주 업종 연구에 이어 마지막 연구과제로 남아 있는 석유화학공업을 내용으로 한 것이다.
한국의 석유화학공업은 중화학공업에서 한국이 가장 먼저 착수하였고 세계시장과의 연결이 가장 먼저 이루어졌던 산업의 하나이었다. 바로 이 책은 그 석유화학공업의 역사기록을 중화학공업화 연구 31년 차 마지막 연구서로 정리한 것으로 이 책에 기록된
내용은 책상 위에서 이론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국내외를 찾아다니며 1차 자료를 발굴하고 다시 찾아가며 얻은 것이다. 그리고 이와 함께 찾은 1차 자료를 기초로 석유화학공업과 관련된 일별 모든 내용을 2000년까지 연장하여 1945~2000년간을 총정리하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제1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생산·투자계획, 1945~1972」, 제2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제3부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들」, 제4부 「석유화학공업의 전략: 공업기지와 기술」, 제5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특징」, 제6부 「석유화학공업의 총괄과 자료」의 총 5개 부로 이루어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부(1~3장)는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초기 모색 과정과 1973년 1월 12일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계획을 정리하였다. 제2부(4~7장)는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 수급계획 및 정책,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1980년대 이후의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을 정리하였다. 제3부에서는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이었던 외국인투자와 차관정책(8장), 인력정책(9장), 그리고 수입대체와 수출정책(10장)을 정리하였다. 제4부(11~14장)에서는 후발공업국으로서 독자적이고 차별적 전략이었던 여천, 울산공업기지 계획과 정책, 조성과정, 그리고 핵심전략이었던 기술도입과 기술개발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어 제5부(15~16장)에서는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정과 기업을 정리하고 석유화학공업과 거시적 한국경제와의 연관지수에 대해 규명한 후 최종적으로 중화학공업화정책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특징과 성격을 밝혔다. 마지막 6부(17~18장)에서는 해방 이후 1945년부터 2000년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일자별 전개과정과 30년에 걸쳐 찾은 한국석유화학 관련 국내외 총 자료를 제시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한국 중화학공업화의 핵심 산업인 석유화학공업에 대한 국내외 미공개 자료와 증언을 30여 년에 걸쳐 총괄적으로 발굴하여 원고지 7,000매의 분량으로 집대성한 국내외 최초의 기록연구이다.

‘한강의 기적’을 세계에 확산시킨 기초는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이었다. 중화학공업화를 총괄 추진한 전 대통령비서실장 김정렴 씨와 실무를 총괄한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기획단장 오원철 씨가 저자와의 인터뷰에서도 분명히 하였듯이 한국의 중화학공업화는 석유화학공업 등 6개 주 업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되 주 연구대상 기간을 1970년대로 하고 구체적 대상은 이미 발표한 5개 주 업종 연구에 이어 마지막 연구과제로 남아 있는 석유화학공업을 내용으로 한 것이다.



한국의 석유화학공업은 중화학공업에서 한국이 가장 먼저 착수하였고 세계시장과의 연결이 가장 먼저 이루어졌던 산업의 하나이었다. 바로 이 책은 그 석유화학공업의 역사기록을 중화학공업화 연구 31년 차 마지막 연구서로 정리한 것으로 이 책에 기록된 내용은 책상 위에서 이론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국내외를 찾아다니며 1차 자료를 발굴하고 다시 찾아가며 얻은 것이다. 그리고 이와 함께 찾은 1차 자료를 기초로 석유화학공업과 관련된 일별 모든 내용을 2000년까지 연장하여 1945~2000년간을 총정리하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제1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생산·투자계획, 1945~1972」, 제2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제3부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들」, 제4부 「석유화학공업의 전략: 공업기지와 기술」, 제5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특징」, 제6부 「석유화학공업의 총괄과 자료」의 총 5개 부로 이루어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부(1~3장)는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초기 모색 과정과 1973년 1월 12일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계획을 정리하였다. 제2부(4~7장)는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 수급계획 및 정책,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1980년대 이후의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을 정리하였다. 제3부에서는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이었던 외국인투자와 차관정책(8장), 인력정책(9장), 그리고 수입대체와 수출정책(10장)을 정리하였다. 제4부(11~14장)에서는 후발공업국으로서 독자적이고 차별적 전략이었던 여천, 울산공업기지 계획과 정책, 조성과정, 그리고 핵심전략이었던 기술도입과 기술개발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어 제5부(15~16장)에서는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정과 기업을 정리하고 석유화학공업과 거시적 한국경제와의 연관지수에 대해 규명한 후 최종적으로 중화학공업화정책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특징과 성격을 밝혔다. 마지막 6부(17~18장)에서는 해방 이후 1945년부터 2000년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일자별 전개과정과 30년에 걸쳐 찾은 한국석유화학 관련 국내외 총 자료를 제시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생산·투자계획, 1945~1972

제1장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모색
Ⅰ. 석유화학공업의 성격과 선택
Ⅱ.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시작
Ⅲ. 한국 석유화학공업정책의 형성과 배경
Ⅳ. 석유화학공업 육성 방향의 모색
부록: 석유화학공업개발계획(1966)
제2장 석유화학공업정책의 시작
Ⅰ. 석유화학공업정책의 시작
Ⅱ. 공장건설 실수요자 선정과 건설계획 및 정부기구
Ⅲ. 차관과 합작투자
Ⅳ. 석유화학공장 건설
부록: 1. 제2정유공장
2. 석유화학공업추진위원회 규정(대통령령 제3402호)
제3장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계획
Ⅰ. 석유화학공업 지원제도의 정비
Ⅱ. 빠른 추격을 위한 정책 도입과 국산화의 시작
Ⅲ. 대내외 충돌과 조정
Ⅳ. 장기계획과 장기정책의 준비


제2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제4장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 수급계획 및 정책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계획
Ⅱ. 석유화학공업 육성정책과 방안
Ⅲ. 구체화되는 육성계획
Ⅳ. 정책논쟁과 수정계획
부록: 에틸렌 기준 30만 톤 설비의 의의와 일본의 석유화학공업
제5장 진전하는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Ⅰ. 석유파동과 석유화학공업정책의 변화
Ⅱ. 협력추구와 내재적 자립의 모순과 해결
Ⅲ. 1970년대 중반의 변화, 위기와 계획
Ⅳ. 정책시차와 공급능력의 정체
제6장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1970년대 말기의 수급계획과 정책
Ⅰ.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석유화학공업정책
Ⅱ.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의 전환
Ⅲ. 개방, 호황과 생산·투자계획의 확대
Ⅳ. 1970년대 말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의 재수정
부록: 「호남에틸렌」 및 「여수석유화학」 민영화
제7장 1980년대 이후의 석유화학공업 중점 계획과 정책
Ⅰ. 전환기 1980년대의 기본계획과 정책
Ⅱ. 단절과 연속의 정책
Ⅲ. 경기회복과 경쟁력 강화
Ⅳ. 1980년대 후반 이후의 산업체계 정비
부록: 1. 1980년대 위기 극복을 위한 일본 석유화학공업의 대응과 정책
2. 공업발전법(1986)·산업발전법(1999)

제3부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들

제8장 외국인투자, 차관
Ⅰ. 초기 외자의 내용과 성격
Ⅱ. 외자 내용과 정책의 전환
Ⅲ.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외국인투자·차관
Ⅳ. 차관과 외국인투자의 전개 양상과 대응
Ⅴ. 차관과 외국인투자의 구조 변화
제9장 인력
Ⅰ. 초기 인력정책 내용과 성격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인력정책의 구조 정형화
Ⅲ. 인력정책의 발전과 질적 전환
Ⅳ. 성과와 인력정책의 약화
부록: 1970년대 인력개발투자액과 직업훈련원 직업훈련 실적
제10장 수입대체와 수출
Ⅰ. 수입대체와 수출정책의 성격과 초기 정책/ 435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수출정책/ 438
Ⅲ. 경쟁력과 구조 변화/ 447
Ⅳ. 1980년대 이후 수입대체와 수출정책의 전환/ 453

제4부 석유화학공업의 전략: 공업기지와 기술

제11장 여천공업기지 계획과 정책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총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Ⅲ. 투자·생산·수출·고용 계획 및 정책과 분양·입주정책
Ⅳ. 대내외 환경 변화와 계획, 정책의 변경과 조정
제12장 여천공업기지 조성과 입주, 가동
Ⅰ. 매수·보상과 주민이주, 배후도시 건설
Ⅱ. 공업지역 건설
Ⅲ. 지원시설 건설
Ⅳ. 기업과 공장: 분양, 입주, 가동, 효과
부록: 여천 제2석유화학단지 초기 주요 공장 추진과정
제13장 울산석유화학단지 계획과 정책, 발전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울산석유화학단지 형성과 출발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Ⅲ. 1970년대까지의 울산석유화학단지 건설과 분양, 가동
Ⅳ. 1980년대 이후 울산석유화학단지 건설과 분양, 가동
제14장 석유화학공업과 기술
Ⅰ. 기술도입
Ⅱ. 기술도입제도의 체계화
Ⅲ. 연구개발과 연구소
Ⅳ. 도전과 대응
부록: 1980년대, 1990년대 기업의 기술도입과 연구개발

제5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특징

제15장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기업, 기업가단체
Ⅰ. 초기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Ⅱ. 1970년대 후반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Ⅲ. 1980년대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Ⅳ. 기업과 기업가단체
부록: 1. 한국 주요 석유화학공업 기업
2. 부표: 1970~1980년대 세계 에틸렌 생산시설능력
제16장 석유화학공업과 한국경제
Ⅰ. 총괄과 수급
Ⅱ. 투자
Ⅲ. 수출과 수입
Ⅳ. 한국중화학공업화정책 시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특징과 역사적 문제

제6부 석유화학공업의 총괄과 자료

제17장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전개, 1945~2000
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태동, 1945~1972
1. 1945~1960
2. 1961~1969
3. 1970~1972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 발전, 1973~1975
1. 1973
2. 1974
3. 1975
Ⅲ. 구조 변화와 발전비용의 대두, 1976~1978
1. 1976
2. 1977
3. 1978
Ⅳ.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재편과 성격, 1979~1985
1. 논쟁, 1979
2. 중화학공업화 비판, 축소와 중단, 1980~1982
3. 중화학공업 조정 이후의 전개, 1983~1985
Ⅴ. 위기와 기회, 1986~2000
1. 3저 호황과 또 하나의 시작, 1986~1990
2. 반복되는 위기와 기회, 1991~2000
제18장 석유화학공업 자료
Ⅰ. 한국어 자료
Ⅱ. 외국어 자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