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의 상호문화소통과 문화적응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의 상호문화소통과 문화적응
저자 : 김영순
출판사 : 북코리아
출판년 : 2021
ISBN : 9788963247601

책소개

한국으로 유학 온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의 대학 생활과 문화적응

이 책은 학문을 익히기 위해 한국으로 유학 온 중앙아시아 유학생의 대학 생활을 둘러싼 문화적응 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서다. 이 책의 공동저자인 딜노자 박사와 피루자 박사 역시 중앙아시아에서 유학 와서 한국에서 박사과정을 수련하고 학위를 취득한 후 전문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다. 이들은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와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BK21 교육연구단의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질적 연구 방법으로 학문을 수행했다.
이 책의 내용은 이들이 박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질적 연구 수행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한다.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토대연구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에스노그래피 활용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의 범주에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수행 기간 동안 갈라노바 딜노자 박사와 아지조바 피루자 박사는 당시 박사과정으로서 중앙아시아 출신과 고려인 출신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과정과 상호문화소통 경험에 관해 심층면담을 수행했다. 수집된 자료들을 원천으로 하여 두 박사의 학위논문이 완성되었으며, 이 책은 학위논문에 기술된 내용은 물론 학위논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내용들까지 수록되어 있다.
다년간 연구과제였던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토대연구 지원사업의 사회통합 총서 저술 프로젝트의 마지막 총서이며, 이주민 중에서도 소수자인 외국인 유학생, 그것도 중앙아시아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상호문화소통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책을 통해 유학생의 대학생활 현실과 문화적응 양상, 전망 등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으로 유학 온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의 대학 생활과 문화적응

이 책은 학문을 익히기 위해 한국으로 유학 온 중앙아시아 유학생의 대학 생활을 둘러싼 문화적응 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서다. 이 책의 공동저자인 딜노자 박사와 피루자 박사 역시 중앙아시아에서 유학 와서 한국에서 박사과정을 수련하고 학위를 취득한 후 전문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다. 이들은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와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BK21 교육연구단의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질적 연구 방법으로 학문을 수행했다.

이 책의 내용은 이들이 박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질적 연구 수행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한다.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토대연구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에스노그래피 활용 이주민의 다문화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의 범주에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수행 기간 동안 갈라노바 딜노자 박사와 아지조바 피루자 박사는 당시 박사과정으로서 중앙아시아 출신과 고려인 출신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과정과 상호문화소통 경험에 관해 심층면담을 수행했다. 수집된 자료들을 원천으로 하여 두 박사의 학위논문이 완성되었으며, 이 책은 학위논문에 기술된 내용은 물론 학위논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내용들까지 수록되어 있다.

다년간 연구과제였던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토대연구 지원사업의 사회통합 총서 저술 프로젝트의 마지막 총서이며, 이주민 중에서도 소수자인 외국인 유학생, 그것도 중앙아시아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상호문화소통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책을 통해 유학생의 대학생활 현실과 문화적응 양상, 전망 등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상호문화소통의 아름다움
연구개요

1장.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현황과 전망
1.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실태
2.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현황

2장. 중앙아시아 유학생의 특성과 현실
1. 중앙아시아 유학생의 현황과 실태
2. 중앙아시아 유학생에 관한 연구 경향
3. 고려인과 고려인 유학생의 현황과 실태
4. 고려인과 고려인 유학생에 관한 연구 경향

3장. 상호문화소통과 문화적응
1. 상호문화와 상호문화성
2. 상호문화소통과 역량
3. 상호문화소통 교육과 상호문화소통 역량 평가
4. 문화적응과 문화충격 이론

4장. 상호문화소통 역량의 함양 과정
1. 상호문화소통 경험 개요
2. 자극 선호 과정
3. 상호문화소통 공감
4. 다른 문화에 대한 태도
5. 상호작용 동기
6. 상호문화소통 참여
7. 상호문화소통 역량

5장. 상호문화소통 경험의 생애사적 의미
1. 연구참여자 1A: 소통으로 새로운 것을 배워가는 마음
2. 연구참여자 1B: 자기만의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3. 연구참여자 1C: 소통을 통해 공유하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
4. 연구참여자 1D: 소통에 근거한 학문적 성향
5. 연구참여자 1E: 친절한 소통으로 열리는 마음의 문
6. 연구참여자 1F: 적극적인 소통에서 오는 기쁨
7. 연구참여자 1G: 소통을 조심스러워하는 마음
8. 연구참여자 1H: 웃음에 기초한 소통에서 오는 즐거움

6장. 한국으로의 유학 동기와 준비 과정
1. 유학 동기
2. 유학 목적
3. 유학 준비 과정

7장. 대학 생활에서의 문화적응 양상
1. 문화적응 범주
2. 유학 밀월 단계
3. 유학 위기 단계
4. 유학 회복 단계
5. 유학 적응 단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