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저자 : 신정근
출판사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8
ISBN : 9791155503249

책소개

동아시아에서 예술 공간이 창출되는 과정을 살피고,
기운생동 등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에서 널리 쓰이는
핵심 개념의 의미와 특성을 살핀 연구서

이 책은 필자가 동아시아 미학 및 예술과 관련해서 썼던 글을 모은 것으로, 호기심 등에 주목해서 동아시아에서 예술 공간이 창출되는 과정을 살피고, 기운생동 등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에서 널리 쓰이는 핵심 개념의 의미와 그 특성을 살폈다. 이것은 동아시아 예술과 미술을 이해하는 전체적인 얼개에 해당되는데 이러한 얼개를 바탕으로 장자의 미유美遊와 혜강의 성무애락聲無哀樂과 성유선악聲有善惡이 미학과 예술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이어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아시아의 미학 담론에서 널리 쓰이는 선비(사인)와 풍류 개념의 어원과 의미 맥락을 자료에 근거해서 논의를 진행했다. 필자는 이 책에서 선비(사인)와 풍류에 대한 과도한 기대로 인해 학문적 주장과 희망 사항을 엄격하게 구분했다.
동아시아 예술의 각 장르는 처음에 개별적으로 출현하고 발전하게 되었지만 결국 위진 시대를 즈음하여 보편적 차원에서 합류한다. 예컨대 음악에서 줄 없는 ‘무현금無絃琴’의 이야기가 그림에서 정신(상상)의 자유로운 전개를 중시하는 ‘신사神似’와 맞닿고 예술에서 독자적 지평을 가리키는 경계境界로 나아가고 철학(사상)에서 눈에 보이는 구체적 대상을 넘어 ‘무無’와 ‘리理’의 세계 근원으로 비상하는 궤적으로 이어진다. 이 궤적은 고스란히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의 특성이 된다. 이 책에서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의 전모를 비록 밝히지 못했지만 그 일단을 밝혀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조금씩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이 책에서 오늘날 인문학 위기 담론의 원인을 분석하고서 ‘예술 인문학’의 관점에서 인문학이 자생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필자는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의 기원과 발전을 정리하기까지 수없이 많은 사람과 만나서 이야기하고, 많은 책을 통해 생각을 주고받았는데 이 책에는 이러한 여정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필자가 동아시아 미학 및 예술과 관련해서 썼던 글을 모은 것으로, 호기심 등에 주목해서 동아시아에서 예술 공간이 창출되는 과정을 살피고, 기운생동 등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에서 널리 쓰이는 핵심 개념의 의미와 그 특성을 살폈다. 이것은 동아시아 예술과 미술을 이해하는 전체적인 얼개에 해당되는데 이러한 얼개를 바탕으로 장자의 미유美遊와 혜강의 성무애락聲無哀樂과 성유선악聲有善惡이 미학과 예술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이어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아시아의 미학 담론에서 널리 쓰이는 선비(사인)와 풍류 개념의 어원과 의미 맥락을 자료에 근거해서 논의를 진행했다. 필자는 이 책에서 선비(사인)와 풍류에 대한 과도한 기대로 인해 학문적 주장과 희망 사항을 엄격하게 구분했다.

동아시아 예술의 각 장르는 처음에 개별적으로 출현하고 발전하게 되었지만 결국 위진 시대를 즈음하여 보편적 차원에서 합류한다. 예컨대 음악에서 줄 없는 ‘무현금無絃琴’의 이야기가 그림에서 정신(상상)의 자유로운 전개를 중시하는 ‘신사神似’와 맞닿고 예술에서 독자적 지평을 가리키는 경계境界로 나아가고 철학(사상)에서 눈에 보이는 구체적 대상을 넘어 ‘무無’와 ‘리理’의 세계 근원으로 비상하는 궤적으로 이어진다. 이 궤적은 고스란히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의 특성이 된다. 이 책에서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의 전모를 비록 밝히지 못했지만 그 일단을 밝혀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조금씩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이 책에서 오늘날 인문학 위기 담론의 원인을 분석하고서 ‘예술 인문학’의 관점에서 인문학이 자생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필자는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의 기원과 발전을 정리하기까지 수없이 많은 사람과 만나서 이야기하고, 많은 책을 통해 생각을 주고받았는데 이 책에는 이러한 여정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동아시아 예술 공간의 창출
1. 문제 제기
2. 예술 공간의 탄생
3. 『시경』: 정감의 자유 공간을 열다
4. 공자: 고통의 우憂를 넘어 자족의 락樂으로
5. 위진 시대: 다양한 형상화의 길을 열다
6. 18세기 조선: 정사正邪의 포위를 뚫은 호기好奇尙新의 흥미
7. 맺음말

제2장 동아시아 예술 미학의 키워드: 치유와 충격, 기묘와 실용, 기운생동
1. 들어가는 글
2. 동아시아 철학의 배경
3. 치유와 수양, 공자 예술의 키워드
4. 충격, 장자 예술의 키워드
5. 기묘와 실용 그리고 형사形似
6. 기운생동氣韻生動
7. 결론을 대신해서: 무현금無絃琴

제3장 장자의 심미 세계: 미유美遊로서 미학
1. 문제 제기
2. 『장자』 ‘미美’ 용례의 간단한 고찰
3. 근대 ‘미학(감성학)Aesthetics’의 탄생
4. 중국의 ‘미학’ 소개와 초기 연구
5. 장자는 서양 근대의 ‘미학’을 추구했는가?
6. 장자의 근본 물음은 미학적인가?
7. 맺음말

제4장 「성무애락론」에 내재된 음악 철학의 쟁점 연구
1. 혜강의 삶 속으로
2. 논의의 방향
3. 절대 음감absolute pitch의 소유자로서 성인
4. 심성心聲·심형心形·심색心色의 관계
5. 맺음말

제5장 선비 정신과 풍류 문화의 결합 양상
1. 문제 제기
2. 선비의 기원과 역사적 현실태
3. 풍류의 기원과 역사적 변용
4. 선비와 풍류의 결합 양상
5. 맺음말

제6장 한국 풍류와 미학의 연관성
1. 문제 제기
2. 풍류, 의미의 혼선과 과잉 기대
3. 풍류와 미학의 연결 가능성
4. 맺음말

제7장 예술 인문학의 길: 인문학 위기 담론에서 자생력 담론으로
1. 문제 제기
2. 인문학 위기의 실상과 그 원인
3. 후원받는 예술과 자생력을 가진 예술
4. 인문학의 자생력 확보
5.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동중서의 천론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