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저자 : 서동일^장신^신명호^김명수^정욱재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출판년 : 2021
ISBN : 9791158666736

책소개

이왕직(李王職)은 일제강점기 역사의 산물이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의 합병조약이 체결되었다. 일본은 천황의 조서를 통해 황제 순종을 ‘이왕’으로, 고종을 ‘이태왕’으로, 황태자를 ‘왕세자’로 규정하고 일본의 황족에 준하는 왕족의 신분을 부여했다. 대한제국 황실이 일개 하나의 가문인 ‘이왕가(李王家)’로 격하된 것이다. 이왕직은 바로 이 이왕가를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조직으로, 일본의 궁내성(宮內省) 소속 기구였다. 이왕직은 이왕가의 구성원을 보좌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제사를 비롯한 이왕가의 각종 의례 활동을 수행했다. 이왕직은 1945년 일제가 패망하는 시기까지 존속하였다.
장서각은 이왕직이 이왕가 관리를 하면서 인수받거나 수집 및 생산한 전적들을 보관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운영하였다. 장서각은 초기에는 대한제국 황실의 전적들을 인수받아 보관하는 도서관으로 기능하다가, 왕족의 실록 및 보감 등을 편찬하는 역할도 하였다. 1981년 장서각 도서 전량이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옮겨졌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대한제국 황실의 유산이면서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산물인 이왕가 및 이왕직 전적을 계승하고 있는 기념비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먼저 장서각 연혁을 중심으로 장서각 이왕가 자료의 유래와 성격을 밝힌다. 이왕직의 직제와 인사, 문서 관리체계를 살피고 이왕직이 관리한 이왕가 재정과 이왕직이 궁내성과 공조하여 편찬한 왕족(王族)과 공족(公族)의 실록을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고종의 국장 절차를 통해 이왕직이 조선왕실 상장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왕실 의례 구조가 왜곡되는 모습을 들여다보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왕직(李王職)은 일제강점기 역사의 산물이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의 합병조약이 체결되었다. 일본은 천황의 조서를 통해 황제 순종을 ‘이왕’으로, 고종을 ‘이태왕’으로, 황태자를 ‘왕세자’로 규정하고 일본의 황족에 준하는 왕족의 신분을 부여했다. 대한제국 황실이 일개 하나의 가문인 ‘이왕가(李王家)’로 격하된 것이다. 이왕직은 바로 이 이왕가를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조직으로, 일본의 궁내성(宮內省) 소속 기구였다. 이왕직은 이왕가의 구성원을 보좌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제사를 비롯한 이왕가의 각종 의례 활동을 수행했다. 이왕직은 1945년 일제가 패망하는 시기까지 존속하였다.

장서각은 이왕직이 이왕가 관리를 하면서 인수받거나 수집 및 생산한 전적들을 보관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운영하였다. 장서각은 초기에는 대한제국 황실의 전적들을 인수받아 보관하는 도서관으로 기능하다가, 왕족의 실록 및 보감 등을 편찬하는 역할도 하였다. 1981년 장서각 도서 전량이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옮겨졌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대한제국 황실의 유산이면서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산물인 이왕가 및 이왕직 전적을 계승하고 있는 기념비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먼저 장서각 연혁을 중심으로 장서각 이왕가 자료의 유래와 성격을 밝힌다. 이왕직의 직제와 인사, 문서 관리체계를 살피고 이왕직이 관리한 이왕가 재정과 이왕직이 궁내성과 공조하여 편찬한 왕족(王族)과 공족(公族)의 실록을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고종의 국장 절차를 통해 이왕직이 조선왕실 상장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왕실 의례 구조가 왜곡되는 모습을 들여다보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장서각 이왕가 자료의 유래와 성격_이왕무
1. 머리말
2. 이왕가의 탄생과 장서각
3. 장서각 자료의 구성과 성격
4. 맺음말

이왕직의 직제와 인사_장신
1. 머리말
2. 직제와 사무분장
3. 직원 구성
4. 인사(人事)
5. 맺음말

이왕직의 문서생산과 기록관리_신명호
1. 머리말
2. 근대개혁과 궁내부
3. 이왕직의 문서생산
4. 이왕직의 기록관리
5. 맺음말

이왕가 재정의 구성과 개요_김명수
1. 머리말
2. 이왕가 재산의 구성
3. 이왕가 재정의 세입 구성
4. 이왕가 재정의 세출 구성
5. 추가 예산의 편성
6. 맺음말

왕공족실록의 체재와 특징_정욱재
1. 머리말
2. 왕공족실록의 편찬 배경과 아사미 린타로의 활동
3. 왕족실록과 실록자료의 체재 및 서술 특징
4. 공족실록과 실록자료의 체재와 특징
5. 맺음말

장서각 소장 자료로 본 고종 국장_이욱
1. 머리말
2. 고종의 국장 절차
3. 주감의 설치
4. 조선식 발인과 상여꾼
5. 맺음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