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호혜와 협동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호혜와 협동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저자 : 정헌목 박세진 이경묵 양영균 염찬희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출판년 : 20221230
ISBN : 9791158666910

책소개

□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호혜와 협동에 주목
2000년대 후반 전 세계가 금융위기를 겪으며 그동안 시장의 전능을 주창하던 신자유주의와 주류 경제학의 한계와 맹점이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과 인류학적 상상력이 요구되면서, 경제행위를 개인의 이기심과 합리적인 선택에 주목하는 경제학의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의 삶과 사회 속에서 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인문학의 관점이 필요해졌다. 이 책은 과거 전통사회의 조직 원리로 간주해온 문화적 요소이자,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의 배경으로 작동하는 ‘호혜성’과 ‘협동’에 주목한다. 관련 개념과 이론의 학사적(學史的) 계보를 추적하고 다양한 시대와 사례 속 호혜성과 협동,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의 모습을 살핀다. 또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기반을 둔 호혜, 협동, 신뢰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책은 사회 불신, 사회적 갈등, 양극화 등으로 각자도생에 경도되어 있는 오늘날, 사회문제를 해소하고 공동체가 갖는 의미와 가치를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호혜와 협동의 개념부터 실제 사례까지 총망라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먼저 제1부 ‘이론 및 개념 편’에서는 ‘호혜성’ 개념을 둘러싼 모스, 말리노프스키, 레비스트로스, 폴라니 등 여러 학자의 논의를 살핀다. 이러한 개념이 국내에 들어와 ‘호혜’로 번역하면서 불거진 오해를 지적하고 앞으로 호혜성 관련 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신뢰’로 대표되는 사회적 자본 개념이 무엇이고, 실제 연구 가운데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검토한다. ‘한국 사회적경제’의 특성을 살피고, 마을공동체 연구방법론으로서 김택규의 기층문화영역론을 분석한다. 제2부 ‘사례분석 편’은 논의 대상을 확장하여 실제 사례에 관한 이론적 비교 분석을 심화하고 전통 한국사회와 현대 한국사회에서 발현되는 호혜성과 공동체성의 양상을 고찰한다. 조선 중기 일기 자료를 통해 선물 연구를 진행하고, 21세기 한국사회를 통해 공유재의 명멸과 공동체 출현 사이의 관계를 조망한다. 공동체와 면역체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고 코로나19 팬데믹, 난민과 이주민 문제, 주거공동체 등의 사례를 분석한다. 협동조합의 특성을 살피고 각 문화에서 선택한 영국 로치데일소비자협동조합, 스페인 몬드라곤노동자협동조합, 한국 홍동풀무협동조합을 알아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호혜와 협동에 주목

2000년대 후반 전 세계가 금융위기를 겪으며 그동안 시장의 전능을 주창하던 신자유주의와 주류 경제학의 한계와 맹점이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과 인류학적 상상력이 요구되면서, 경제행위를 개인의 이기심과 합리적인 선택에 주목하는 경제학의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의 삶과 사회 속에서 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인문학의 관점이 필요해졌다. 이 책은 과거 전통사회의 조직 원리로 간주해온 문화적 요소이자,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의 배경으로 작동하는 ‘호혜성’과 ‘협동’에 주목한다. 관련 개념과 이론의 학사적(學史的) 계보를 추적하고 다양한 시대와 사례 속 호혜성과 협동,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의 모습을 살핀다. 또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기반을 둔 호혜, 협동, 신뢰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책은 사회 불신, 사회적 갈등, 양극화 등으로 각자도생에 경도되어 있는 오늘날, 사회문제를 해소하고 공동체가 갖는 의미와 가치를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호혜와 협동의 개념부터 실제 사례까지 총망라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먼저 제1부 ‘이론 및 개념 편’에서는 ‘호혜성’ 개념을 둘러싼 모스, 말리노프스키, 레비스트로스, 폴라니 등 여러 학자의 논의를 살핀다. 이러한 개념이 국내에 들어와 ‘호혜’로 번역하면서 불거진 오해를 지적하고 앞으로 호혜성 관련 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신뢰’로 대표되는 사회적 자본 개념이 무엇이고, 실제 연구 가운데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검토한다. ‘한국 사회적경제’의 특성을 살피고, 마을공동체 연구방법론으로서 김택규의 기층문화영역론을 분석한다. 제2부 ‘사례분석 편’은 논의 대상을 확장하여 실제 사례에 관한 이론적 비교 분석을 심화하고 전통 한국사회와 현대 한국사회에서 발현되는 호혜성과 공동체성의 양상을 고찰한다. 조선 중기 일기 자료를 통해 선물 연구를 진행하고, 21세기 한국사회를 통해 공유재의 명멸과 공동체 출현 사이의 관계를 조망한다. 공동체와 면역체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고 코로나19 팬데믹, 난민과 이주민 문제, 주거공동체 등의 사례를 분석한다. 협동조합의 특성을 살피고 각 문화에서 선택한 영국 로치데일소비자협동조합, 스페인 몬드라곤노동자협동조합, 한국 홍동풀무협동조합을 알아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이론 및 개념 편
1장 학사적 맥락에서 본 호혜성 개념의 계보: 서구 이론의 검토를 중심으로_정헌목
1. 들어가며
2. 호혜성 개념의 초기 계보
3. 모스의 『증여론』과 호혜성 원리
4. 호혜성의 유형론과 규범으로서의 호혜성
5. 호혜성 개념의 현대적 함의: 그레이버와 에나프를 중심으로
6. 나가며: ‘호혜성’과 한국사회
2장 호혜성과 사물이전의 유형학: 실패의 역사_박세진
1. 들어가며
2. 호혜성과 함께 교환을 보편화하기
3. 호혜성의 개념
4. 호혜성과 함께 돌고 돌기
5. 테스타의 유형학
3장 공유재, 호혜와 협동의 한계/문턱_이경묵
1. 호혜성과 공유재를 떼어놓기(uncoupling)
2. 공동체 그리고 공유재
3. 위드록의 ‘나눔의 인류학’
4. 한계와 문턱으로서의 공유재: 기숙사 신축에 대한 반대운동과 에나웨네-나웨족 사례
5. 나가며
4장 현대 한국사회에서 호혜성과 공동체성의 발현: 사회적 자본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_양영균
1. 들어가며
2. 사회적 자본 개념 검토
3. 사회적 자본 개념을 적용한 국내 연구 검토
4. 나가며
5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탄생: 서구 사회적 경제 이론의 이식 과정_염찬희
1. 들어가며: ‘사회적 경제’의 수입
2. 연대경제, 공공경제 아닌 사회적경제
3. 담론구성체 ‘한국 사회적경제’: 흔들리던 사회적 경제, 사회적경제로 닻 내리다
6장 기층문화론 연구방법론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김택규의 기층문화영역론을 중심으로_오창현
1. 들어가며
2. ‘공동체 이론’으로서 문화하강론 혹은 침강문화재이론
3. 전후 일본 민속학계의 기층문화론
4. 김택규의 기층문화영역론: 기층문화의 토대로서 ‘생산공동체’
5. 나가며

제2부 사례분석 편
7장 조선시대 선물 관행에 관한 경제인류학적 시론: 의례적 선물과 사회의 재생산_오창현
1. 들어가며
2. 선물을 둘러싼 이론적 쟁점: 의례적 선물과 사적인 선물
3. 조선 중기 선물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초 작업
4. 나가며
8장 조선 중기 양반사족층의 선물수수_양영균
1. 들어가며
2. 조선시대 일기 연구
3. 일기에 나타난 선물수수
4. 증여인가, 교환인가
5. 나가며
9장 공동체 만들기와 공유재의 명멸: ‘공유재이자 공동체’들의 중첩_이경묵
1. 들어가며
2. 공유재의 변모와 공동체의 출현
3. 사회적경제라는 무대 위의 유령: ‘공유재이자 공동체’들의 중첩
4. 나가며
10장 코로나19와 공동체의 자가면역_박세진
1. 들어가며: 코로나19와 선물
2. 코로나19-앞의-자기
3. 주지 않을 수 없는 선물과 공동체
4. 공동체의 자가면역과 증여의 명령
5. 나가며
11장 공동체를 보는 다른 관점: 에스포지토의 공동체/면역체로 본 한국사회_ 정헌목
1. 들어가며
2. 공동체와 면역체: 촌락공동체에서 현대사회까지
3. 국민국가 공동체의 이질적 타자: 이주민과 난민
4. 주거 공동체와 면역의 문제: 한 아파트 단지의 사례
5. 나가며: ‘긍정의 생명정치’를 향하여
12장 문화로 협동조합을 설명하기: 베네딕트의 ‘문화 패턴’ 개념을 통해서_염찬희
1. 들어가며
2. 협동조합을 위한 문화, 협동조합의 문화
3. 로치데일과 로치데일소비자협동조합의 문화
4. 몬드라곤과 몬드라곤노동자협동조합의 문화
5. 그리고, 한국의 홍동풀무협동조합의 문화
6. 나가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