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여행과 개혁,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
여행과 개혁,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
저자 : 임종태
출판사 : 들녘
출판년 : 2021
ISBN : 9791159256707

책소개

홍대용의 북경 여행은
조선의 과학기술에 어떤 파장을 일으켰는가

이 연구는 홍대용의 1765년 북경 여행과 그것이 불러일으킨 여파를 단서로 삼아, 18세기 중후반 영조와 정조 두 군주가 통치하던 시기 조선의 과학기술과 그것을 둘러싼 지적, 사회문화적 지형을 살펴보는 시도이다. 연행사절은 과학기술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연례적 외교 행사였지만, 세심히 살펴보면 홍대용이라는 인물과 그의 북경 여행에는 당시 조선의 과학기술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지형과 그 가운데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직ㆍ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들이 담겨 있다.

18세기 중ㆍ후반 조선에서 양반의 학문, 중인의 전문 분야, 장인의 기술이 “과학기술”이라고 부를 만한 밀접한 연관을 맺은 것은 현실의 제도적 영역에서라기보다는 몇몇 양반 엘리트들의 개인적 실천, 그들의 경세론과 정책 구상 속에서였다. 홍대용과 북학론자들이 바로 그들로서, 독특한 북경 여행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들이다. 그들이 조선 사회를 향해 제기한 핵심적 의제가 북경 여행과 관계된 것이었으므로, 그들이 창출해낸 “과학기술”의 내부 질서도 그 여행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흥미롭게도, 홍대용의 실천에 자극을 받아 박제가와 박지원의 북경 여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로 북학론이 제기되었지만, 홍대용과 북학론자들이 만들어내고 있던 “과학기술”은 그 이념적, 문화적 결이 상당히 달랐고, 이후 한국사에서 맞이한 운명도 엇갈렸다.

그간 서양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이라는 좁은 관심사 바깥의 넓은 영역은 한국의 근세ㆍ현대 과학기술사에서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 천지의 도를 추구하던 양반 학자들, 시헌력으로 일월오성의 운행을 예측하던 관상감의 관원들, 국가와 백성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물건을 만들어내던 장인들의 실천으로 이루어져 있던 조선의 과학기술이 어느새 서구에서 유래한 과학기술로 바뀌었는데, 그 전환의 과정에 대해서는 마치 의식을 잃은 것처럼 기억에 남은 것이 없다. 만약 우리가 느끼는 단절의 감각이 18세기 말에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이어진 사각지대의 효과에 불과하다면, 지금까지 보지 못했거나 보려 하지 않았던 것을 복원하기 위한 시도를 이제부터라도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18세기에 양반, 중인, 장인들에게서 확인되는 과학기술적 활력과 점차 활발해지기 시작했던 상호 작용은 이후 어떻게 이어졌을까? 근대화, 서구화의 과정에서 외래의 지식과 실천에 자리를 물려주고 완전히 소멸한 것일까? 아니면 흥미로운 혼종의 형태로 지금까지 우리의 주위에 살아남아 있는 것은 아닐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홍대용의 북경 여행은

조선의 과학기술에 어떤 파장을 일으켰는가



이 연구는 홍대용의 1765년 북경 여행과 그것이 불러일으킨 여파를 단서로 삼아, 18세기 중후반 영조와 정조 두 군주가 통치하던 시기 조선의 과학기술과 그것을 둘러싼 지적, 사회문화적 지형을 살펴보는 시도이다. 연행사절은 과학기술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연례적 외교 행사였지만, 세심히 살펴보면 홍대용이라는 인물과 그의 북경 여행에는 당시 조선의 과학기술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지형과 그 가운데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들이 담겨 있다.



18세기 중?후반 조선에서 양반의 학문, 중인의 전문 분야, 장인의 기술이 “과학기술”이라고 부를 만한 밀접한 연관을 맺은 것은 현실의 제도적 영역에서라기보다는 몇몇 양반 엘리트들의 개인적 실천, 그들의 경세론과 정책 구상 속에서였다. 홍대용과 북학론자들이 바로 그들로서, 독특한 북경 여행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들이다. 그들이 조선 사회를 향해 제기한 핵심적 의제가 북경 여행과 관계된 것이었으므로, 그들이 창출해낸 “과학기술”의 내부 질서도 그 여행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흥미롭게도, 홍대용의 실천에 자극을 받아 박제가와 박지원의 북경 여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로 북학론이 제기되었지만, 홍대용과 북학론자들이 만들어내고 있던 “과학기술”은 그 이념적, 문화적 결이 상당히 달랐고, 이후 한국사에서 맞이한 운명도 엇갈렸다.



그간 서양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이라는 좁은 관심사 바깥의 넓은 영역은 한국의 근세?현대 과학기술사에서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 천지의 도를 추구하던 양반 학자들, 시헌력으로 일월오성의 운행을 예측하던 관상감의 관원들, 국가와 백성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물건을 만들어내던 장인들의 실천으로 이루어져 있던 조선의 과학기술이 어느새 서구에서 유래한 과학기술로 바뀌었는데, 그 전환의 과정에 대해서는 마치 의식을 잃은 것처럼 기억에 남은 것이 없다. 만약 우리가 느끼는 단절의 감각이 18세기 말에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이어진 사각지대의 효과에 불과하다면, 지금까지 보지 못했거나 보려 하지 않았던 것을 복원하기 위한 시도를 이제부터라도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18세기에 양반, 중인, 장인들에게서 확인되는 과학기술적 활력과 점차 활발해지기 시작했던 상호 작용은 이후 어떻게 이어졌을까? 근대화, 서구화의 과정에서 외래의 지식과 실천에 자리를 물려주고 완전히 소멸한 것일까? 아니면 흥미로운 혼종의 형태로 지금까지 우리의 주위에 살아남아 있는 것은 아닐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서론

1. 홍대용의 북경 여행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과학기술
2. 여행과 경세(經世),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
3. 조선 후기의 실학(實學)과 과학기술
4. 이 책의 구성과 내용

제1장 중인의 과학과 양반의 과학

머리말 1766년 북경, 양반 홍대용과 중인 이덕성
1절 전문 기술직 중인
1. 전문 기술직 중인과 그 구성
2. 전문 기술직 중인의 형성
2절 기술직 중인의 자각과 문화적 정체성
1. 기술직 중인의 자각
2. 18세기 관상감의 약진
3절 “실학(實學)”: 양반 전문가들의 등장과 홍대용의 『주해수용』
1. 양반 전문가들의 등장
2. 성리학과 수리과학

제2장 성찰적 여행자의 과학-18세기 서양 과학의 유행과 홍대용의 『의산문답』

머리말
1절 성찰적 여행: 18세기 북경 여행 방식의 변화
2절 중국으로의 여행과 서양 과학
3절 새로운 자연 지식에 대한 조선 학자들의 해석
1. 서양 과학의 계보
2. 우주론적 절충
3. 대척지와 기(氣)의 회전: 서구 과학의 문화적 함의
4절 『의산문답(毉山問答)』, 여행자의 우주론


제3장 여행과 국가의 개혁-북학의 과학기술 정책과 그 실천

머리말
1절 정책 의제로서 북학론의 등장
2절 박제가 『북학의』의 수사 전략
3절 북학론의 기술관과 중국 기술 도입 정책
1. 중국과 조선의 비교
2. 중국 배우기
3. 사회 개혁의 동력으로서 선진 기술의 도입
4. 정부 주도의 기술 도입론
4절 북학 정책의 실천과 성취
5절 조선 후기의 기술, 장인(匠人), 그리고 북학론

맺음말

주석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