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
저자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출판사 : 계명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220831
ISBN : 9791165161484

책소개

본 저서인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은 사회학의 핵심 주제인 사회질서와 사회변동의 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를 모았다. 사회학(Sociology)은 ‘사회(Socio-)’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logy)’이다. 사회학의 대상인 특정의 ‘사회’는 그 사회가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회학의 ‘학문적 개념’들은 ‘그 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토대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서구에서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사회와는 전혀 다른 복잡한 사회가 등장했다. 사회학은 이렇게 새롭게 등장한 사회를 연구하고 미래를 예측-대비하기 위해서 출발한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학문이다.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학의 개념들은 모두 그 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기반으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사회학적 개념들은 서구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담고 있다. 이런 개념들로 한국 사회를 설명할 때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많고, 이런 부분들은 예외로 무시되기 쉽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특수성, 한국 사회만의 특성은 이런 예외로 무시되는 부분에 담겨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학이 서구 중심적인 사회학의 틀을 벗어나는 위해서는 모든 사회에서 보이는 보편적 개념뿐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를 설명하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바탕으로 한 개념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 책은 이런 작지만 힘겨운 노력의 산물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본 저서인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은 사회학의 핵심 주제인 사회질서와 사회변동의 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를 모았다. 사회학(Sociology)은 ‘사회(Socio-)’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logy)’이다. 사회학의 대상인 특정의 ‘사회’는 그 사회가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회학의 ‘학문적 개념’들은 ‘그 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토대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서구에서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사회와는 전혀 다른 복잡한 사회가 등장했다. 사회학은 이렇게 새롭게 등장한 사회를 연구하고 미래를 예측-대비하기 위해서 출발한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학문이다.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학의 개념들은 모두 그 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기반으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사회학적 개념들은 서구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담고 있다. 이런 개념들로 한국 사회를 설명할 때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많고, 이런 부분들은 예외로 무시되기 쉽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특수성, 한국 사회만의 특성은 이런 예외로 무시되는 부분에 담겨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학이 서구 중심적인 사회학의 틀을 벗어나는 위해서는 모든 사회에서 보이는 보편적 개념뿐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를 설명하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바탕으로 한 개념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 책은 이런 작지만 힘겨운 노력의 산물이다.



집필진 소개

∙ 유승무 (중앙승가대학교)

∙ 이현지 (계명대학교)

∙ 정승안 (동명대학교)

∙ 김보경 (계명대학교)

∙ 오세근 (동신대학교)

∙ 박수호 (중앙승가대학교)

∙ 이일래 (부산대학교)

∙ 이명호 (경희대학교)

∙ 홍승표 (계명대학교)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002

제1부. 사회질서의 문제를 마주한 한국 전통사상
ㆍ업연의 논리와 사회질서|유승무 … 015
ㆍ격몽요결이 보여주는 동양적 사회화 이론|이현지 … 045
ㆍ일상위기의 극복과 용호비결의 함의|정승안 … 079
ㆍ유ㆍ불사상의 관점에서 본 일탈행위|김보경 … 119
ㆍ정약용의 학문 체계를 통한 사회복지학 체계의 재구성|오세근 … 161

제2부. 한국 전통사상으로 이해하는 사회변동
ㆍ인간적ㆍ사회적 마음구성체와 사회변동|유승무ㆍ박수호 … 205
ㆍ주역의 논리로 이해하는 사회변동|정승안 … 237
ㆍ의례문화의 변화와 공동체|이일래 … 269
ㆍ제례의 변화로 살펴본 한국 가족의 현실|이명호 … 301
ㆍ동양사상과 미래 문명의 비전|홍승표 … 337

참고문헌 / 35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