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글 서예와 한글 서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글 서예와 한글 서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저자 : 홍윤표
출판사 : 태학사
출판년 : 20230228
ISBN : 9791168101302

책소개

한글 서예와 서체의 거의 모든 문제에 관한
국어학자 홍윤표 교수의 깊이 있는 학문적 접근

국어학자인 저자는 한글 고문헌을 검토하면서 한글의 자형이나 서체가 시대적으로 다르고 특징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궁체로 쓰인 자료는 절대로 15, 16세기 문헌이 아니며, ‘가’를 쓸 때 ‘ㄱ’의 세로선이 선의 마지막 부분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지게 쓰였다면 19세기 중기 이후의 문헌이며, 특히 세로선이 오늘날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45도 기울어져 있다면 그 문헌은 1880년대 이후의 문헌이며, ‘ㅌ’자가 가로선 아래에 ‘ㄷ’을 쓴 형태로 쓴 문헌이 있다면 그 문헌은 18세기 중기 이후의 문헌이며, ‘ㅈ’자가 3획이 아니라 2획으로 쓰인 문헌은 17세기 이후의 문헌이라는 등의 사실들이다.

그래서 이러한 자형이나 서체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증명해서 이를 간행 연대나 필사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증거로 삼기 위해서, 한글의 자형과 서체의 변화표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저자가 한글 서예와 서체 연구를 하게 된 발단이었다.

이후 저자는 한글 서예와 한글 서체에 관한 연구를 다각도로 심화해 나갔고, 그러면서 다양한 기회에 발표한 글들이 모여 이 책 『한글 서예와 한글 서체』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 책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저자가, 다양한 한글 문헌에 대한 시대별 고증을 거치고, 시대별 서체와 자형의 변천사에 대해 연구하여, 오늘의 한글 서예의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글 서예와 서체는 주로 예술적 측면에서만 접근이 이루어져 왔었기에, 한글 서체와 서체의 올바르고 균형있는 현대적 발전을 모색하는 데 더없이 귀중한 연구 성과라 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제1장에서는 한글의 기본적인 기능과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정확한 이해부터 시작하여 한글의 과학성, 한글과 서예, 한글과 그림 등에 대해 다루고, 제2장에서는 서예의 특징 및 한글 서예에 대해 설명한 후 디지털 시대의 한글의 기능 및 한글 서체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

“디지털 시대에 걸맞도록 용이하게 한글 서체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한글 서체에 대한 연구를 예술적인 차원에서 학문적인 차원으로 승화시키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기존의 한글 서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한글 서체들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써 온 우리의 전통적인 한글 서체에 대한 수집과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디지털 시대의 한글 서체에 대하여」 중에서

제3장에서는 우리 언어생활과 문자생활 및 의사전달 방식의 변천, 말과 문자의 표현 방식의 차이, 문자와 그림의 표현 방식의 차이, 문장부호의 창안 등을 짚은 후 한글의 변형, 글꼴의 다양성, 그리고 정보화 시대 한글 운용 방법의 특징과 한글 글꼴의 개발에 대해 논한다. 제4장에서는 한글 서체의 역사적 변화 및 분류에 대해 살핀 후 종교 관련 한글 문헌과 한글 서체에 대해 알아본다.
제5장에서는 한글과 서예 및 예술, 한글 서예와 한자 서예 등을 살피고, 한글 서체사 및 서예사 연구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어서 한글 서체의 변천사를 시기별로 짚어 본다. 제6장에서는 한글 자형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제7장에서는 한글 자형 관련 연구 현황, 교육 현황,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및 자형의 변천에 따른 한글 자형의 표준안을 제시한다.
제8장에서는 한글 서체 명칭의 혼란상을 제시한 후 그 원인과 통일의 이유를 밝히고, 정비 기준을 제시한다. 제9장에서는 조선시대 언간의 특징, 서체의 종류, 자료집 등을 통해 한글 서예로의 효용성을 논한다.
제10장에서는 언간 서체자전의 편찬 목적 및 용도를 제시한 후 편찬의 방향을 제안한다. 제11장에서는 한글 서체에 큰 업적을 이룬 꽃뜰 이미경 선생의 한글 서예사적 위치를 조명하고, 제12장에서는 국어학자가 바라본 한글 서예계의 과제를 제언한다. 제13장에서는 『훈민정음 언해본』의 어제 서문을 통해 한글 서예 작품의 문제점을 짚는다.

“한글 서예계는 지금까지 주로 예술적인 시각에서 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한글 서예가 이제는 학문적인 경지로 올라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문적 성과가 있을 때, 예술도 발전한다고 생각한다. 예술은 학문을 바탕으로 해야 하며 학문은 예술을 깊이 고려해야 한다. 필자는 학문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예술은 저속하며, 예술을 고려하지 않는 학문은 편협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 「국어학자가 본 한글 서예계의 과제」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한글과 예술
1. 한글의 기본적인 기능
2.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정확한 이해
3. 한글의 과학성
4. 한글과 서예
5. 한글과 그림
6. 한글 폰트에 대한 단상

제2장 디지털 시대의 한글 서체에 대하여
1. 서론
2. 서예의 특징
3. 한글 서예와 한글
4. 디지털 시대의 한글의 기능
5. 디지털 시대의 한글 서체에 대한 몇 가지 제언
6. 맺음말

제3장 정보화 시대와 한글 글꼴 개발
1. 우리나라의 언어생활과 문자생활
2. 의사전달 방식의 변천
3. 말과 문자의 표현 방식의 차이
4. 문자와 그림의 표현 방식의 차이
5. 문장부호의 창안
6. 문자의 변형(특히 한글의 변형)
7. 한글 글꼴의 다양성
8. 정보화 시대의 한글 운용 방법의 특징
9. 정보화 시대의 한글 글꼴의 개발
10. 맺음말

제4장 한국의 종교와 한글 서체
1. 시작하는 말
2.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한글 서체
3. 한글 서체의 역사적 변화
4. 한글 서체의 분류
5. 한국의 종교
6. 종교 관련 한글 문헌
7. 종교 관련 한글 문헌의 한글 서체
8. 마무리

제5장 훈민정음체에서 궁체까지
1. 시작하는 말
2. 한글과 예술
3. 한글과 서예
4. 한글 서예와 한자 서예
5. 한글 서체사의 연구 목적
6. 한글 서예사 연구를 위한 준비
7. 훈민정음해례본체
8.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9. 훈민정음과 서체
10. 한글 서체의 첫 단계 변화
11. 한글 서체의 두 번째 단계 변화
12. 15세기 한글 문헌의 서영
13. 16세기 이후의 한글 서체의 변화
14. 17세기 이후의 한글 서체의 변화
15. 한글 서체 변화의 종합적 기술
16. 궁체
17. 마무리

제6장 한글 자형의 변천사
1. 머리말
2. 한글 자형의 변화
3. 맺음말

제7장 한글 자형의 표준화에 대하여
1. 서언
2. 한글 자형 및 서체에 대한 연구 현황
3. 한글 자형에 대한 교육 현황
4. 한글 자형의 사용 실태
5. 글자 표준안 제정의 원리
6.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및 자형의 변천
7. 한글 자형의 표준안 제시
8. 변이형의 허용 범위 문제
9. 결어

제8장 한글 서예 서체 명칭 통일 방안
1. 머리말
2. 한글 서체 연구의 현황
3. 한글 서체 이름의 불통일의 한 이유
4. 한글 서체 이름의 통일과 전문용어의 표준화
5. 한글 서체 명칭의 혼란상
6. 서체 명칭의 혼란상의 원인
7. 한글 서체 명칭 통일의 이유
8. 한글 서체 명칭의 정비 단계
9. 서체 명칭의 정비 기준
10. 한글 서체 분류에 대한 의견
11. 마무리

제9장 조선시대 언간과 한글 서예로의 효용성
1. 서론
2. 언간의 특징
3. 언간과 서예 교육
4. 언간 서체의 종류
5. 언간 자료집
6. 언간 서체의 선택
7. 맺음말

제10장 언간 서체자전 편찬에 대하여
1. 머리말
2. 언간 서체자전의 편찬 목적 및 용도
3. 목적에 따른 서체자전 편찬의 방향
4. 마무리

제11장 꽃뜰 이미경 선생님의 한글 서예사적 위치
1. 들어가는 말
2. 한글 서예사와 한글 서체사
3. 꽃뜰 선생님은 한글 궁체를 완성시켰다
4. 꽃뜰 선생님은 한글 서예를 한자 서예로부터 독립시켰다
5. 꽃뜰 선생님은 보는 한글 서예에서 보고 듣는 한글 서예로 발전시켰다
6. 꽃뜰 선생님의 한글 서예는 말하는 듯 쓴 서예다
7. 마무리

제12장 국어학자가 본 한글 서예계의 과제
1. 머리말
2. 국어국문학과 한글 서예
3. 국어학자가 본 한글 서예인의 과제
4. 한글 서체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과제
5. 궁체
6. 민체
7. 궁체와 민체
8. 한글 서예 교과서의 문제
9. 맺음말

제13장 『훈민정음 언해본』의 어제 서문을 통해 본 한글 서예 작품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2. 『훈민정음 언해본』의 구조
3. 맺는말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