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어 의문 구문과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양상 이론적 접근)
한국어 의문 구문과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양상 이론적 접근)
저자 : 양정석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220830
ISBN : 9791169190381

책소개

이 책은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의 비서술문에 대한 연구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머리말

합성성 원리 하에 모든 인간 언어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하는 연구 기획을 ‘프레게 기획’이라고 한다. 합성성 원리는 문장의 의미가 문장을 이루는 단어들의 의미의 함수로 기술되어야 하고, 단어들이 통사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의 함수로 기술되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이 책은 프레게 기획을 구현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합성성 원리의 구현과 관련한 문제들이 이 책의 내용 전반에 걸쳐 해결하고자 하는 목표가 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엄밀한 의미의 합성성 원리는 문법의 한 부문인 의미론의 영역에서 준수된다는 것이 이 책의 관점이다. 담화화용론적 절차에는 의미론적 절차에 있지 않은 규칙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의문 구문의 절과 문장, 의도 구문의 절과 문장을 회의 양상과 의도 양상을 표현하는 명제로 가정함으로써 의미론적 차원에서의 합성성 원리가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의 통사의미적 해석 과정에서 준수됨을 보이고자 한다. 서술문은 물론이고, 서술문 이외의 모든 종류의 문장 형식이 그 통사구조와 의미구조의 대응, 연결 과정에서 합성성 원리를 준수한다는 일반화가 얻어진다.

명령문이 양상의 하위 개념으로서의 의무 양상을 통하여 설명된다고 보는 것은 상당히 보편화된 인식이다. 이 책에서는 명령문이 의도 양상의 명제를 나타내고, 이것이 의무 양상과 관련지어진다고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비해 의문문이 회의 양상이라는 양상 개념으로 해명된다는 이 책의 논점은 매우 새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양상의 표현임이 널리 인정되는 의도 구문의 양상 표현으로서의 특징들을 차근차근 짚어 본 다음, 의문 구문의 양상 표현으로서의 특징들로 나아가는 논의 순서를 취하였다. 생성언어학의 원리매개변인 이론에 입각한 졸고 양정석(2010)에서의 한국어 통사구조에 대한 전반적 기술 결과를 유지하고 그 의미와의 대응에서 합성성 원리를 준수하는 의미 해석의 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필자의 궁극의 연구 목표이다. 이 책은 그 목표를 향한 여정의 중요 고비이다. 이 책의 주제에 대해 밝은 안목을 가지신 독자 여러분의 질정을 구한다.

이 책은 2019년 연세미래선도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이에 감사의 뜻을 표한다. 이 책을 출판해 준 한국문화사에서는 이로써 네 권의 학술서를 출판하게 되었다. 따뜻한 분위기에, 김태균 편집장님, 조정흠 부장님 등, 만나는 분마다 신뢰감을 주시는 한국문화사에서 네 번째 저서를 출판하게 되어 기쁘고 고맙게 생각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__5

제1장 서론 11
1.1. 의문 구문 연구의 목적과 범위 12
1.2. 의도 구문 연구의 목적과 범위 17
1.3. 국내외 연구 현황 19
1.3.1. 의문 구문에 대한 연구 현황 19
1.3.2. 의도 구문에 대한 연구 현황 23
1.4. 논의의 순서 25

제2장 합성성 원리의 구현과 양상 이론 27
2.1. 들어가기 27
2.2. 표준적 형식의미론에서의 합성성 원리 구현 방법 27
2.3. 양화사의 의미 해석 32
2.3.1. LF-이동 접근 방안에 따른 양화사 의미 해석의 문제 32
2.3.2. 가변 타입 접근 방안에 따른 한국어 양화사의 의미 해석 35
2.4. 표준적 양상 이론과 맥락, 판단자 개념의 필요성 49
2.4.1. Kratzer(1981,1991)의 양상 이론 49
2.4.2. 기준 맥락의 필요성 55
2.4.3. 기준 판단자의 필요성 58
2.5. 마무리 61

제3장 한국어 의도 구문의 형식문법 63
3.1. 들어가기 63
3.2. 의도 구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64
3.3.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문장 의미 합성 74
3.4. 간접인용절의 명령형/청유형/약속형 어미의 의미 정의와 간접인용문의 의미 합성 77
3.5. 추론규칙과 담화 의미 표상 84
3.6. ‘-겠-’, ‘-을것이-’, ‘-으려고하-’, ‘-을래’, ‘-으려무나’ 89
3.6.1. ‘-겠-’과 ‘-을것이-’ 90
3.6.2. ‘-겠다고’의 문제와 간접인용절 복합 어미들의 재정의 93
3.6.3. ‘-으려고 하-’와 ‘-을래’; 재구조화 원리와의 관련 102
3.6.4. 존재 양화의 의도 양상 ‘-으려무나’ 109
3.6.5. 한국어 의도 양상 요소 재정리 112
3.7. 의도 구문과 연접, 이접, 조건의 표현 118
3.8. 의도 구문의 담화화용론 123
3.8.1. 공유배경, 행동목록, 대화배경, 책임성 123
3.8.2. 명령문의 화용적 해석: 의도 양상이 다른 전이 의미들의 기본 의미다 126
3.8.3. 명령문과 양상 표현의 관계 128
3.8.3.1. 의도 양상과 의무 양상의 관계 128
3.8.3.2. 필요조건 조건문과 명령문의 상충 130
3.8.3.3. 명령에서 허락으로 132
3.9. 마무리 133

제4장 한국어 의문 구문의 형식문법 135
4.1. 들어가기 135
4.2. 의문 구문의 유형화 138
4.2.1. 의문형어미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 138
4.2.2. 다중 의문사구, 의문사구와 의문형어미의 호응 141
4.3. 의문사의 양화사 해석 142
4.3.1. 양화사의 합성적 기술 143
4.3.2. 양화 관형사의 합성적 기술 149
4.3.3. 논리형태 이동 접근에 따른 의문사 의미 합성의 문제 151
4.4. 의문 구문의 통사의미적 합성: 양상 이론적 접근 158
4.4.1. 양상 요소로서의 의문형어미 158
4.4.2. 의문형어미의 의미 정의 163
4.4.3. 의문사 구문의 의미 합성 165
4.4.4. 의문 관형사 ‘어떤/어느/무슨’을 포함하는 의문 구문 170
4.4.5. 의문사를 포함하는 절이 관계절인 경우 173
4.4.6. 의문형어미와 간접인용절 176
4.4.7. 의문형어미와 보문 명사절 178
4.4.8. 의문형어미와 접속문 181
4.4.9. 다중 의문사 문장의 해석 183
4.5. 마무리 184

제5장 의문 구문 부연 및 보완, 다른 접근 방안들과의 비교 185
5.1. 들어가기 185
5.2. 통사구조에서 의미 형식으로, 담화 의미 표상까지 187
5.2.1. 의문사의문문의 통사구조의 특징, 그리고 변이문의 개념 187
5.2.2. 의미 형식에서 담화 의미 표상으로 191
5.2.3. 보문 구조와 접속 구조에서의 의문문 200
5.2.4. ‘웬’과 ‘몇’ 219
5.2.5. ‘누구의 책’, ‘무엇의 냄새’의 문제 222
5.2.6. 의문사와 의문 관형사의 의미 전이 규칙: 가변 타입 접근 방안 226
5.2.7. 의문사와 보조사 ‘-이나, -이라도, -도’의 상호작용 232
5.2.8. 반어의문문 242
5.2.9. 겹쳐진 양상 구조: ‘-더냐’와 ‘-을래’, ‘-을까’, ‘-지’ 245
5.2.10. 의문형어미의 재정리 252
5.3. 의문문에 대한 다른 해석 방안들 258
5.3.1. 의문문을 명제들의 집합으로 보는 형식의미론의 접근들 258
5.3.1.1. Karttunen(1977)의 의문문 해석 259
5.3.1.2. 이익환(1979): 한국어에 적용된 카투넨의 의문문 이론 263
5.3.1.3. Groenendijk & Stokhof(1984)의 의문문 해석 269
5.3.2. 통사적 논리형태 이동을 가정하지 않는 의문사의문문 해석 279
5.3.2.1. Shimoyama(2001) 279
5.3.2.2. Kratzer(2006):‘햄블린 함수적용’을 통한 대안형들의 산출 284
5.4. 마무리 289

제6장 결론 291

참고문헌__299
색인__31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