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 (개경 승려와 사대부의 음식)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 (개경 승려와 사대부의 음식)
저자 : 태경(이선이)
출판사 : 양사재
출판년 : 2020
ISBN : 9791185228082

책소개

고려시대에서 찾아보는 불교 음식학(飮食學)

본 저서는 고려 개경(開京)의 승려와 사대부 음식문화를 정리한 것이다. 요즘 음식의 트렌드는 ‘먹방’이다. 그러나 저자는 그저 음식의 트렌드가 ‘먹방’에서 끝나는 아쉬움이 있으며, 한식이나 사찰음식(또는 불교음식)이 한국인들의 입장에서 어떻게 시작되고 변용되었는가를 인문학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기본 사료는 고려시대 승려와 사대부의 문집 그리고 고려사, 서긍의 고려도경 등에서 음식에 관한 내용을 찾아서, 신라와 조선시대를 연결하는 고려시대의 음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동양 최초의 음식이론, 송(宋) 개봉의 음식 특히 소식(蔬食)에 관한 詩를 첨부하였다. 불교경전과 논서에서 음식이론에 관한 내용을 모아, 초기불교(인도불교)의 입장이 아니라, 중국불교에서 인도불교음식이 이해될 때, 음식론 및 음식관이 어떻게 변용되었는가를 보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주요 내용〉
-백제는 중국 유교사상에서 소식(蔬食)으로 변용된 것이 유입되어, 불교음식이 시작된다.
-고려 개경은 송(宋)의 상인들의 무역을 통해서 송의 음식과 식기문화가 직수입된다.
-고려에서 불교음식은 아주 비싼 음식으로 특권층 만이 향유할 수 있었다.
-사찰음식은 건강식이 아니라, 식체(食體)를 갖추고 식상(食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수행 방편의 하나이다.(불교음식수행론)
-오신채와 육식을 금하는 이유는 맛의 욕심을 버려 전쟁을 막는 것이 궁극의 목적이다.
-중국 선불교의 청규(淸規)는 인도불교의 음식관을 재해석하여 불교음식문화(발우공양)을 발달시키고, 조선시대에는 사찰가람의 배치에 영향을 준다.
-조선왕실의 속제(왕실의 조상제사)는 고려 불교음식인 유밀과의 재현이다.
-오늘날 민가의 결혼 환갑 등, 큰 날의 상차림은 고려 불교음식의 영향이다.
-한국음식문화의 기원은 불교음식에서 시작되었다.
-태안 대섬과 마도1~3호선에 출수(出水)된 실제 食器 옹기와 청자유물을 도판으로 제공한다.
-음선정요(1330년) : 원나라 홀사혜(忽思慧)가 원의 황실 귀족의 음식보(飮食譜)를 기술하여 편찬한 음식재료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이야기거리〉
-고려시대 남해안에서 개경으로 진상하는 식기에는 젓갈, 꿀, 게장, 메주, 누룩 등이 담겼음
-고려 개경에는 송나라의 음식과 식기가 유행
-고려인은 음식의 성질에 따라 옹기와 청자를 구분하여 사용
-녹자(綠瓷)라 불렀던 청자에 구리로 홍색을 발색하는 기술은 당시 세계 최초의 테크놀로지
-궁중음식이 아닌 효(孝)의 음식으로 변용된 구절판과 폐백
-불교음식에서 숟가락과 젓가락
-승려는 개경에 무료급식소를 설치
-탁주와 청주 및 금주령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일러두기
머리말
참고문헌

총론 음식을 담다
1. 한식의 원형을 찾는 길
2. 우리의 풍미(風味)
3. 개경(開京)에 설치한 무료급식소
4. 고추 이전의 매운맛 초(椒)
5. 음식을 담은 고려의 옹기와 청자(靑瓷)
6. 바다 속에서 나온 청자발우
7. 조선왕실의 속제(俗祭)는 불교음식의 재현
8. 전통음식문화의 기초를 놓은 불교음식

제1부 음식을 먹다
1. 음식 이야기가 있는 책1) 무의자시집2) 호산록3) 보한집4) 동국이상국집5) 고려도경6) 고려사7) 본심재소식보8) 동경몽화록
2. 개경(開京)의 음식 이야기
3. 불교음식의 기본 이야기1) 맛[味]2) 식(食)3) 사찰음식에서 오신채와 육식4) 오신채와 오채(五菜)

제2부 음식을 읽다
1. 송(宋) 개봉(開封)의 먹거리1) 산속의 음식2) 꿈속의 음식
2. 개경(開京) 문인의 먹거리1) 승가의 소순기(蔬?氣)
ㆍ채조(蔡?) ?서청시화(西?詩話)?의 유통2) 송도(松都)의 먹거리
ㆍ공래산 구절판(九折坂)과 폐백 이야기
ㆍ두보의 ?탁료유묘리(濁?有妙理)?와 소식의 ?탁료유묘리부(濁?有妙理賦)?원문
ㆍ삼해주(三亥酒) 이야기3) 서긍(徐兢)의 개경(開京) 음식4) 역사 속의 음식
3. 승려의 음식 이야기1) 마음을 자연으로 노래2) 수행을 산초(山椒)에 비유

제3부 음식을 이야기하다
1. 동양의 맛이론[味論]1) 동양 최초의 맛이론2) 한의학의 5가지 맛3) 한의학의 5가지 맛이론4) 맛을 움직이는 이론5) 공자의 음식
2. 불교음식의 이론1) 육근(六根)을 참회하는 글2) 식(食)에서 양(量)을 아는 것3) 고기 먹는 것을 막는 이야기4) 식(食)을 싫어하는 상(想)5) 5가지 매운맛 채소6) 바른 식(食)을 논함7) 법회 여는 것을 논함8) 식(食)의 체(體)9) 먹는 자리는 작은 상으로 함10) 숟가락과 젓가락의 사용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