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임원경제지 전공지 2
임원경제지 전공지 2
저자 : 서유구
출판사 : 풍석문화재단
출판년 : 20220322
ISBN : 9791189801540

책소개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중국·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 5번 째 지(志) 〈전공지(展功志)〉, 직물농사 백과사전

〈전공지〉의 제목인 ‘전공(展功)’이라는 말은 ‘부공(婦紅)을 펼친다’는 뜻이다. 부공은 여성 노동력에 의한 고치와 삼, 모시와 칡, 면의 길쌈활동을 말한다.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석유가 아닌 땅의 산물로 우리 몸을 감쌀 의류를 생산하는 일은 인류 역사 이래 계속된 지난한 작업이었다. 이 작업은 주로 여성에게 부과되면서 부공(婦紅)이라고 불렸으며, 먹을 것을 생산 하는 일 못잖은 고되고 강한 노동을 요구했다.
따라서 서유구는 의복과 관련된 역사나 신화보다는 뽕나무 심고 누에치고 베 짜는 근본적인 기술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중국·일본·조선의 문헌 80종을 인용하여 방대한 직물농사 백과사전을 직조했다.

〈전공지〉 2권은 권3부터 권5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3에서는 〈삼베류 길쌈〉과 〈목화 길쌈〉을 소개한다. 〈삼베류 길쌈〉에는 삼과 모시, 어저귀와 칡 등 목화 이외의 식물성 섬유 재배와 방직을 다루며, 〈목화 길쌈〉에서는 목화 재배에서부터 방직에 이르기까지를 다루고 우리나라의 길쌈법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권4에서는 〈그림으로 보는 누에치기와 뽕나무 재배〉, 그리고 모시 재배 내용을 수록하여 사람들이 그림을 통해 중국의 발달된 제도를 쉽게 본받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원나라 때의 《왕씨농서》의 그림(27회)을 근간으로 하여 청나라 때의 《농정전서》(1회)와 저자 서유구의 저술인 《경솔지》(3회)의 내용으로 보완했다.

권5에서는 〈그림으로 보는 길쌈〉을 수록하여, 중국의 발달된 기계들을 본받아 태고 시절의 제도를 답습하고 있는 조선의 길쌈 기술을 변혁시키고자 했다. 중국의 《왕씨농서》(24회)를 위주로 조선의 제도는 《경솔지》(17회)를, 일본의 제도는 《화한삼재도회》(12회)를 폭넓게 참조하여 서술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양잠ㆍ길쌈ㆍ방직에 관한 정보를 총망라하다.
〈전공지〉는 조선과 중국ㆍ일본의 다양한 문헌에서 양잠ㆍ길쌈ㆍ방직에 관한 정보를 가장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그 결과 옷감의 재료를 확보하고 실과 천으로 가공하며 염색과 빨래를 통해 아름답고 따뜻하며 안전하고 건강한 의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든든한 토대를 구축했다.
한산모시, 안동삼베가 시장에 나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얼마나 많은 공력을 들였는지를 알 수 있는 조선의 기록 자료는 거의 남지 않았다. 다만 김홍도나 김준근 같은 희대의 화가들이 조선의 풍속을 아름답고 정교하게 그림 작품으로 남겨 두었을 뿐이다. 이들의 그림 작품은 문자화 된 〈전공지〉에서 소개한 설명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전공지〉의 정확성과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일러두기

전공지 권제3
삼베류 길쌈[麻績, 마적] 麻績
1. 삼[大麻, 대마] 재배 【부록 저마(?麻, 삼 암그루) 재배하는 법】 藝大麻【附 ?麻栽法】
1) 삼 大麻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재배하기 種蒔
5) 종자 거두기收子
6) 저마(?麻, 삼 암그루) 파종하는 법 種?麻法

2. 모시[苧麻, 저마] 재배 藝苧麻
1) 모시 苧麻
2) 재배하기 種蒔
3) 종자 거두기收種
4) 쓰임새功用

3. 어저귀[?麻, 경마] 재배 藝?麻
1) 어저귀 ?麻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관리하기[修蒔] 修蒔
5) 거두기 收採
6) 쓰임새 功用

4. 칡 거두기 採葛
1) 칡 葛
2) 거두기 收採
3) 부가사항 附餘

5. 길쌈(방직) 紡織
1) 삼을 물에 담가 두었다 삼실 삼기 ?績
2) 첨사룡(詹士龍)의 베 짜는 법 詹雲卿造布法
3) 우리나라의 베 짜는 법 東布織法

목화 길쌈[棉績, 면적] 棉績
1. 목화[木棉, 목면] 재배 種木棉
1) 목화[木棉, 목면] 木棉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거름주기 糞壅
7) 그루 간의 거리 科苗
8) 4가지 병폐 四病
9) 4가지 요점 四要
10) 장마나 가뭄 대비 ?備
11) 사이짓기[間種, 간종]는 금물이다 禁間種
12) 구덩이에 재배하는 법(감종법) 坎種法
13) 거두기 收採
14) 쓰임새 功用

2. 길쌈 紡織
1) 목화씨 제거하고 솜 타는 법[?彈法, 연탄법] ?彈法
2) 땅광 만들어 길쌈하는 법 穿?紡織法
3) 길쌈법 織法
4) 우리나라 길쌈법 東國織法
5) 부록 빨래하는 여러 방법 附 洗澣雜方
5-1) 나견(羅絹) 빨래 洗羅絹| 5-2) 금(錦) 빨래 洗錦| 5-3) 북견(北絹) 빨래 洗北絹| 5-4) 모시 빨래 洗苧布| 5-5) 생삼베 삶기 煮生麻布| 5-6) 흰옷 빨래 洗白衣| 5-7) 갈옷 빨래 洗葛衣| 5-8) 홍포(紅布, 붉은 베) 빨래 洗紅布| 5-9) 청저사(靑紵絲, 푸른 모시) 빨래 洗靑紵絲| 5-10) 조의(?衣) 빨래 洗?衣| 5-11) 다갈색 옷감에 핀 흰 꽃점(흰 곰팡이) 처리 治茶褐衣段發白花點| 5-12) 모전의(毛氈衣) 빨래 洗毛氈衣| 5-13) 갖옷 빨래 洗皮?| 5-14) 먹물 묻은 옷 빨래 洗墨汚衣| 5-15) 기름 묻은 옷 빨래 洗油汚衣| 5-16) 옻칠 묻은 옷 빨래 洗漆汚衣 | 5-17) 양기름 묻은 옷 빨래 洗羊脂汚衣| 5-18) 돼지기름 묻은 옷 빨래 洗猪油汚衣| 5-19) 쇠기름 묻은 옷 빨래 洗牛脂汚衣| 5-20) 동유 묻은 옷 빨래 洗桐油汚衣| 5-21) 녹반 등의 온갖 약이 묻은 옷 빨래 洗綠礬百藥汚衣| 5-22) 담배 진액이 묻은 옷 빨래 洗煙膏汚衣| 5-23) 누런 진흙 묻은 옷 빨래 洗黃泥汚衣| 5-24) 해황(蟹黃) 묻은 옷 빨래 洗蟹黃汚衣| 5-25) 피 묻은 옷 빨래 洗血汚衣| 5-26) 고름 묻은 옷 빨래 洗瘡膿汚衣| 5-27) 채색 염료 묻은 옷 빨래 洗彩色汚衣| 5-28) 청대(靑黛, 쪽) 묻은 옷 빨래 洗靑黛汚衣| 5-29) 고약 묻은 옷 빨래 洗膏藥汚衣| 5-30) 똥 묻은 옷 빨래 洗糞汚衣| 5-31) 벼룩 똥 묻은 옷 빨래 洗蚤屎汚衣| 5-32) 철장(鐵漿) 묻은 옷 빨래 洗鐵漿汚衣| 5-33) 낙숫물이 묻은 옷 빨래 洗屋漏水汚衣| 5-34) 괴화(槐花, 회화나무꽃)즙 묻은 옷 빨래 洗槐花汚衣| 5-35) 소방목(蘇方木)즙 묻은 옷 빨래 洗蘇方木汚衣| 5-36) 양매(楊梅)즙 묻은 옷 빨래 洗楊梅汚衣| 5-37) 감즙이나 배즙 묻은 옷 빨래 洗?、梨汚衣| 5-38) 식초나 간장 묻은 옷 빨래 洗醋醬汚衣| 5-39) 술 묻은 옷 빨래 洗酒汚衣| 5-40) 습기로 눅눅한 옷 빨래 洗濕蒸變?汚衣| 5-41) 흑공단(黑貢緞) 빨래 洗黑貢緞汚| 5-42) 홍단(紅緞, 홍색 비단) 빨래 洗紅緞汚| 5-43) 대홍주(大紅紬, 짙은 홍색 명주) 빨래 洗大紅紬| 5-44) 기름때가 묻은 갓 빨래 洗笠子油汚| 5-45) 두건의 기름때 빨래 洗油頭巾汚| 5-46) 직물의 염색 물리기 退染色布帛

전공지 권제4
그림으로 보는 누에치기와 뽕나무 재배(잠상도보) 【부록 삼과 모시 재배】 蠶桑圖譜【
附 麻、苧】
1) 잠실(蠶室, 누에 치는 건물) 蠶室
2) 잠실난로[火倉, 화창] 火倉
3) 누에시렁[蠶槌, 잠추] 蠶槌
4) 누에발[蠶箔, 잠박] 蠶箔
5) 잠연(蠶椽, 누에발받침가로대) 蠶椽
6) 잠비(蠶?, 누에광주리) 蠶?
7) 잠반(蠶槃, 네모진 누에광주리) 蠶槃
8) 잠가(蠶架, 누에시렁) 蠶架
9) 잠망(蠶網, 누에그물) 蠶網
10) 잠표(蠶杓, 누에 구기) 蠶杓
11) 누에섶[蠶簇, 잠족] 蠶簇
12) 견옹(繭甕, 고치항아리) 繭甕
13) 견롱(繭籠, 고치광주리) 繭籠
14) 누에알받이종이[蠶連, 잠련] 蠶連
15) 상궤(桑?, 뽕잎 따는 걸상) 桑?
16) 상제(桑梯, 뽕잎 따는 사다리) 桑梯
17) 작부(斫斧, 뽕나무 가지치기 도끼) 斫斧
18) 상구(桑鉤, 뽕잎 갈고리) 桑鉤
19) 상롱(桑籠, 뽕잎대바구니) 桑籠
20) 상망(桑網, 뽕잎 담는 자루) 桑網
21) 참도(?刀, 가지 치는 칼) ?刀
22) 절도(切刀, 뽕잎 자르는 칼) 切刀
23) 상침(桑?, 뽕잎 써는 도마) 桑?
24) 상협(桑夾, 뽕잎 써는 작두) 桑夾
25) 구지(?池, 삼 담그는 웅덩이) ?池
26) 증석(蒸石, 삼 찌는 돌) 蒸石
27) 예도(刈刀, 삼 베는 칼) 刈刀
28) 저괄도(苧刮刀, 모시껍질 벗기는 칼) 苧刮刀
29) 저증방(苧蒸房, 모시 찌는 방) 苧蒸房

전공지 권제5
그림으로 보는 길쌈(방직도보) 紡織圖譜
1) 얼레[絲?, 사확] 絲?286
2) 실통[絲筒, 사통]과 실뭉치[絲團, 사단] 絲筒、絲團
3) 소차(?車, 실잣는 기구) ?車
4) 자새[?絲??, 소사녹로]와 소저(??, 실 잣기 젓가락) ?絲??、??
5) 사편(絲?, 사반대) 絲?
6) 열부(熱釜, 누에고치를 삶는 솥) 熱釜
7) 냉분(冷盆, 차가운 동이) 冷盆
8) 경가(經架, 날틀) 經架
9) 위차(緯車, 씨실 감는 물레) 緯車
10) 낙차(絡車) 絡車
11) 직기(織機) 織機
12) 요기(腰機, 베틀) 腰機
13) 북대[梭, 사]와 북[?, 저] 梭、?
14) 바디[筬, 성]와 바디집[??, 구광] 筬、??
15) 말코[?, 복] ?
16) 도투마리[?, 승] ?
17) 잉아(잉앗대)[綜, 종] 綜
18) 중통(中筒)과 비경이[枕檢, 침검] 中筒、枕檢
19) 서차(絮車, 풀솜 만드는 기구) 絮車
20) 연면축(撚綿軸, 꼬임을 주는 축) 撚綿軸
21) 면구(綿矩, 풀솜틀) 綿矩
22) 목면교차(木綿攪車, 무명 씨아)와 소교차(小攪車, 씨아) 木綿攪車、小攪車
23) 솜활[木綿彈弓, 목면탄궁] 木綿彈弓
24) 솜말대[木棉捲?, 목면권정]와 솜고치[綿筒, 면통] 木棉捲?、綿筒
25) 무명물레[木棉紡車, 목면방차]·왜물레[倭紡車, 왜방차]·가락[鍋, 과]
【곧 정(鋌)이다】 木綿紡車、倭紡車、鍋【卽鋌】
26) 돌꼇[木棉撥車, 무명발차] 木棉撥車
27) 무명광상[木棉?牀] 木棉?牀
28) 무명선가[木棉線架] 木棉線架
29) 무명연석[木棉?石] 木棉?石
30) 면판(棉板, 무명판) 棉板
31) 적축(績 ) 績
32) 소방차(小紡車, 작은 물레)·대방차(大紡車, 큰 물레) 小紡車、大紡車
33) 돌꼇[蟠車, 반차] 蟠車
34) 노차[?車, 실 물레] ?車
35) 베솔[?刷, 노쇄] ?刷
36) 베틀[布機, 포기] 布機
《전공지》 참고문헌 서목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