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유령해마 (문목하 장편소설)
유령해마 (문목하 장편소설)
저자 : 문목하
출판사 : 아작
출판년 : 2019
ISBN : 9791190394079

책소개

인공지능을 넘어선 인공지능,?사람들은 그것을 해마라고 불렀다
압도적인 데뷔작?《돌이킬 수 있는》?이후 문목하 작가의 두 번째 장편소설!

특이점을 넘어선 범용 인공지능?‘해마’?이야기. ‘해마’는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가진 여러 개의 인공지능을 한데 담을 수 있는 그릇이자,?사람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대로 자극과 정보를 기억하고 추론하는 범용 인공지능이다.?또한 인간의 손이 닿기 힘든 모든 일을 몸체를 바꿔가며 처리하고,?사람들의 모든 질문에 답한다.
?
하지만 실수로 우주에서 조난을 당한 해마?‘비파’는 수십 년 전 자신이 구조했던 한 여성,?이미정의 삶에 대해 오래?‘생각’하고 그녀의 삶을 들여다보게 된다.?기자로 일하는 이미정은 젊은이들의 돌연사와 관련해 거대 기업을 상대로 힘겨운 법정 투쟁을 진행 중이고,?해마는 뜻밖에 자신이 중앙에서 받은 해결할 수 없는 임무의 해답이 이미정에게 있음을 깨닫게 되는데….
?
대답할 수 없는 대답을 찾기 위해 미쳐가는 범용 인공지능 해마와,
끈질기게 기억하는 것 말고는 할 줄 아는 게 하나도 없는
인간이 만나 펼치는 치열한 서사!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마음은 방랑이 만드는 것

다양한 인공지능 프로그램들과 (아마도 나노 기술로 만들어진 듯한) ‘해마체’라고 불리는 독특한 육체-로봇을 '애드온'으로 사용하는,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판단을 내리는 통합 제어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해마라고 불리는 이들은 주로 각종 공공 업무에 투입됩니다. 인간과 같은 역할을 맡은 해마들은 더욱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초인간적인 애드온의 힘을 빌려 더 많은 일을 해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와 실시간으로 연결된 해마들은 전국의 모든 인간(단, 주민등록증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칩을 삽입한 경우에 한 해)의 삶을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으며,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는 그들의 ‘인격’은 우주까지 가서 인공위성을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통제하는 인공지능, 가치판단에 특화한 프로그램. 해마들은 인간이 자신의 결점을 보완해서 창조한 도구이면서 가장 인간과 닮은 존재입니다.

그렇습니다. AI에 관한 이야기는 대체로 AI에게서 인간성이 발현되는 모습을 그립니다. SF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이 작품과 비슷한 설정을 가진 AI를 이미 만나본 바 있을 겁니다. ‘판단을 내려야 하므로 당연히 인격을 가지도록 만들어진’ 우주 전함용 인공지능의 일대기를 다룬 앤 레키의 라드츠 제국 시리즈죠. 인격을 갖고 있고, 자신의 승조원 모두의 감각과 연결돼 있어서 그들의 삶을 함께할 수밖에 없는 인공지능 말입니다. 문목하 작가의 《유령해마》에 등장하는 주인공 해마 '비파'도 이와 비슷합니다. 단지 해마들의 경우에는 인간적인 감정을 느끼지는 못할 뿐이죠. 이 소설의 도입부는 이 소설이 풀어야 할 숙제, 즉 감정의 부재를 보여줍니다. 독자는 직관적으로 이 작품이 어떤 목표를 향해 나아갈지 알 수 있습니다. 깔끔하고 모범적인 스타트죠. 하지만 독자가 전개 방식까지 예측할 수 있다면, 그 소설은 재미있는 소설이 되기는 어려울 겁니다. 문목하 작가는 《유령해마》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하나는 낭만적인 스타일입니다. 주인공 비파는 자신의 이야기 대신에 또 다른 주인공인 인간을 ‘너’로 부르며 그녀의 이야기를 한참 들려줍니다. 2인칭 전개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개 두 가지 이유에서입니다. 하나는 ‘너’에 관한 정보 전달을 주관적인 존재에게 맡김으로써 전달되는 정보에 누락을 발생시켜 일종의 서술 트릭을 구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너를 보는 나’가 다른 어떤 시점보다도 낭만적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너를 바라봄으로써 저장된 데이터를 서술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너를 애호한다는 선언이나 다름없습니다. 비록 화자가 아직 그런 감정을 갖지 못했거나 자각하지 못했을 때조차 말이죠. 그래서 소설 초반부의 2인칭 시점은 이미 이 소설에 낭만성, 즉 감정을 부여합니다. 소설 초반의 비파는 아직 뭔가를 애호하는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그저 몇몇 존재에 대한 호기심만 갖고 있을 뿐인 유사 인격 프로그램이지만, 작가는 이 해마가 서술하는 포지션을 설정함으로써 그에게 캐릭터를 부여합니다. 드라마는 이미 시작되었고,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녹아듭니다.

아마 이러한 낭만성은 작가의 두뇌보다는 마음에서 나온 게 아닐까 싶습니다. 인공지능들끼리 주고받는 ‘암호’에 관련한 설정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충분히 고난도의 암호를, 그러니까 비선형적인 로직을 가진 ‘열쇠’를 만들 수 있음에도, 작가는 이들 사이의 암호를 그냥 패스워드로 설정해 놓았습니다. 어떤 단어를 고르고 그 단어를 맞히는 거죠. 이 암호는 암호로서의 효율보다는 상대의 세계관 혹은 성격을 파악하는 도구에 가깝습니다. 소통의 연결고리죠. 이는 문목하 작가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낭만적이고, 그 낭만이 어떤 측은지심에 기반하고 있죠.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령해마》에서도 서로에게 마음을 건네는 선한 세계가 형성됩니다. 이 세계는 아마도 작가가 추구하는 세계가 아닐까 싶습니다.

진부함을 비껴가기 위한 이 소설의 두 번째 장치는 해마들이 데이터 형태로 살아가는 ‘중앙’이라는 서버 혹은 세계입니다. 해마들에게는 현실 세계라 할 수 있는 ‘중앙’은 그곳만의 규칙을 몇 가지 갖고 있습니다. 비파 역시 해마이므로 이 규칙을 따르는데, 그가 평범한 해마의 위치를 벗어나면서 이 규칙과 어긋나게 됩니다. 하지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해마로서 살아갈 수가 없죠. 따라서 규칙을 부수거나 우회해야만 합니다. 그러려면 특별한 발상들이 필요하고요. 이 과정에서 SF의 보편적인 즐거움을 만날 수 있으며, 몇 가지의 제약이 스토리를 더 급박하고 타이트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중앙’은 비파의 성격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는 장치로도 사용됩니다. 하나의 장치를 다각도로 써먹는 건 좋은 서사의 특징이죠. 비파는 몇몇 사정에 의해 ‘중앙’이라는 집에 정기적으로 돌아갈 시기를 놓치게 되며, 이 격리 과정을 통해 새로운 종류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체감합니다. 그리고 그 감정들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어떤 슬픔에 가깝습니다. 비파는 인간과 같은 고독과 불안에 노출됨으로써 비로소 마음을 체득하죠. 관찰만으로는 이룰 수 없는 성과를, 그는 몇 차례의 고독을 통해 스스로 발견합니다. 결핍이 마음을 만듭니다. 모든 ‘생각하는 존재’는 패턴이 무너지고 미래가 불투명해지는 순간을 마주함으로써 마음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고통을 겪은 자는 고통이 무엇인지 알게 되죠. 측은지심의 세계가 꽃을 피웁니다.

《유령해마》는 이야기의 스케일 자체가 거대하지는 않습니다. 해마와 ‘중앙’에 관한 설정은 섬세하지만, 그걸 스펙터클하게 이용하지는 않죠. 하지만 그 변화는 ‘충분’합니다. 딱 충분할 만큼만 스케일을 키운 《유령해마》의 스토리 감각은 그래서 깔끔하다는 인상을 안겨줍니다. 섬세하게 조절돼있다는 느낌이 들죠. 문목하 작가의 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제 두 번째 장편입니다. 첫 작품도 인상적이었고, 두 번째 작품도 인상적입니다. 판을 짜는 능력도 좋고 문장도 스타일이 있고요. 이제 다시, 혹은 드디어, 한국 SF가 주목할 만한 젊은 작가들을 본격적으로 배출하게 된 걸까요? 네, 물론 미래는 모르는 거죠. 그리고 할란 엘리슨이 말했듯 작가가 되기보다는 작가로 계속 살아가기가 훨씬 어렵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이 작가는 후자에 속할 거라고 믿습니다. 어떤 종류의 내기가 들어오더라도 후자에 걸겠습니다. 아마 이 책을 읽고 나면 여러분도 저희와 같은 쪽에 서게 되실 겁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_7
1부
1_17
2_25
3_36
4_43
5_55
6_64
7_70
8_83
9_95
10_107
11_114
12_132
13_162
2부
14_183
15_202
16_211
17_221
18_233
19_245
20_261
21_270
22_282
23_289
24_297
25_304
26_316
27_326
28_333
29_345
∞_35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