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물의 인문학 (생명의 근원에서 권력의 상징이 되기까지, 역사와 문학, 신화와 과학으로 살펴보는 물 이야기)
물의 인문학 (생명의 근원에서 권력의 상징이 되기까지, 역사와 문학, 신화와 과학으로 살펴보는 물 이야기)
저자 : 베로니카 스트랭
출판사 : 반니
출판년 : 2020
ISBN : 9791191214178

책소개

물과 인간은 어떤 관계를 맺어왔을까?
자연과 문화의 렌즈로 살펴보는 물의 세계

▼ 인간은 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을까?
지구가 품고 있는 다양한 생명군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누구도 ‘정답’을 외칠 수는 없다. 하지만 물이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데는 누구도 이견을 달지 못할 것이다. 무한정 써도 상관없을 거라 믿었던, 물. 한없이 믿었기에, 소중하게 다룰 필요를 느끼지 않았던 것이 바로 물이 아닐까? 모든 쓰레기, 오물, 오염, 불순물을 스스로 정제시킬 거라 믿음은 저 먼 과거의 이야기일 뿐, 이제 인류는 어떤 자연의 물도 마음껏 마시기를 두려워한다. 자연 속에 흐르던 물은 사라졌고, 댐에 갇혀 썩어가는 물에 인류는 역공을 받고 있다.
이 책은 물과 인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인간이 물을 어떻게 체험하고, 어떤 믿음과 이해를 갖고 있는지, 그래서 어떻게 물을 이용하는지를 설명한다. 인간은 수많은 문화적 렌즈를 통해 물을 숭배하고 사랑하고 두려워했으며, 물로 연결되고 물 때문에 싸움을 벌였다. 담수 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바다조차도 기후 변화와 오염의 압박을 느끼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우리와 물의 생명 문화적 관계는 인간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종의 안녕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권력의 상징이 된 물
제레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는 농경으로의 이행을 ‘인류 최악의 실수’라고 일컬었다. 농경은 인류에게 ‘발전’이라고 간주되지만, 다이아몬드가 농경을 바라보는 태도는 강경했다. 농경이 저주이든 축복이든 그로 인해 인간과 물의 관계는 급격하게 변했다. 농경 사회가 시작되면서 인류가 물에 대해 보다 주도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와 함께 일어난 인구 팽창은, 사회와 정치 조직 동시에 영향을 미쳤고, 권력 관계에 많은 불균형을 가져왔다. 물을 길들이려는 관개 기술의 급성장은 인간 사회의 지도자들을 점차 신격화했고, 왕은 사막조차 비옥하게 만드는 물의 창조적 힘이 현실에 나타난 화신으로 여겨졌다.
치수를 통해 권력을 안정시킨 역사적 경우는 많다. 기원전 3000년경 메네스 왕은 나일 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댐을 건설하고는 최초의 파라오가 되었으며, 고대 중국의 우 황제는 높은 산맥에 가로막혀 있던 황하의 물길을 바꾸어 권위를 강화했다. 관개 기술의 발달로 댐들이 세워지고, 인공 호수와 운하가 건설되었다. 복잡한 관개기술이 등장하면서 인간은 물질 환경이나 인간 이외의 종에게 큰 지배력을 갖게 되었다. 식량 생산이 증가하고 인구의 집약도가 높아지면서 더 강력한 통제권이 요구되었으며, 이런 사회적 변화는 최고의 지도력과 종교적으로는 가부장적 일신교를 자리 잡게 만들었다.

▼ 물의 흐름이 무너지면서 닥쳐온 위기
엄청난 양의 물을 가둬놓고 있음에도 몇몇 지역에서 물 부족을 겪고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이 안정적인 식수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의 흐름을 바꾸어 인간 활동에 전용한 결과 수질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의 가난한 사람들, 특히 어린이들은 매일 1만 명에서 1만 4천 명의 사람이 수인성 질병으로 죽고 있다.
물이 다른 물질을 분해하고 운반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은 오염의 폐해도 함께 입는다는 의미이다. 댐과 관개 사업 때문에 가장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생태학적 문제는 토양의 염류화다. 많은 관개 사업은 지하수를 펌프로 끌어올리는 데 의존한다. 낮아진 강물의 수위도 오염을 악화시킨다. 이전에는 강물이 불어나 급류를 일으키면서 쓰레기나 퇴적된 침전토, 무거운 오염물질을 바다로 내보냈지만, 물을 가둬놓거나 과도하게 끌어다 쓰면서는 이런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의 끝에는 바다가 있다. 그런 바다가 앓고 있다. 인간 사회와 생태계를 거치면서 지구 곳곳을 돌아다니는 물의 흐름이 무질서해졌다는 것은 곳곳에서 나타나는 자연재해로 엿볼 수 있다. 엄청난 크기의 쓰나미, 도시를 강타하는 지진, 건조 지역에 더 길어진 가뭄에서도 보인다.
20세기 후반기에 인류는 깨달은 바가 있다. 담수가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시장 원칙에 따르는 신자유주의에 충실 하느라 세계 곳곳에서 급속하게 수자원이 민영화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민영화로 5년 사이에 수도료가 60퍼센트 인상되었으며, 비가 내리는데도 기반 시설의 투자 부족으로 나라 전체가 긴 ‘가뭄’을 겪어야 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는 시장 지배가 정부 지배보다 낫다는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들어왔다. 이는 당연히 수혜자들이 한 이야기다. 승자와 패자 모두를 낳는 경쟁체제에서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사회는 물이 정말 무엇인지,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중요한지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물은 인류와 지구상의 모든 유기체 사이를 흐르며 이어주는 연결고리이기 때문이다. 물은 생명을 만들어내고 유지시키는 창조적, 생성적 바다이며, 살아 있는 물은 정체성이 담긴 물질, 영혼이 담긴 물질, 자아가 담긴 물질이다. 이제라도 실용주의적인 환원주의를 버려야 한다. 변하지 않고 이대로 나아간다면, 인류는 향후 20년 안에 심각한 물 부족을 겪게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글 물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
1. 바다 깊은 곳에서 시작된 생명 _지구 위의 물
2. 모든 것의 시작, 카오스 _살아 있는 물
3. 물은 어디에나 있다 _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물
4. 돌고, 돌고, 돌다 _물의 여정
5. 부와 권력의 상징이 되다 _물을 지배하는 인간
6. 물의 흐름을 막아라 _산업과 물
7. 지구의 수로를 리모델링하다 _공학으로 설계된 물길
8. 댐 건설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_물을 지키려는 사람들
결론 물에도 국경이 있는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