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문법 교육론
저자 : 강현화
출판사 : 소통
출판년 : 2022
ISBN : 9791191957082

책소개

한국어 문법 교육론을 집필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급증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문법 교수에 대한 다양한 시각 속에서 정리된 단행본의 형태로 문법 교육론을 출간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문법의 내용을 다루는 문법론과 구분되면서도, 이론 문법이나 내국인 대상의 교육 문법과 구분하는 일이 누적된 연구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외국어의 학습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사람과 소통하고 다양한 생각들을 접하게 되는 일은 한 언어에만 갇힐 수 있는 사고력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며, 언어를 통해 사고의 다양성을 얻게 되는 일이다. 따라서 언어를 배우는 것은 단순히 단어의 수나 문법 항목의 수를 확장하는 일은 아니며,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는 일일 것이다. 이런 면에서 문법의 교수는 의사소통 기능과 분리해서는 안 되며, 언어 사용의 구체적인 상황 맥락과 연계되어 교수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법은 실제 언어의 사용에서 정확성뿐만 아니라 상황별 사용 적절성을 갖출 수 있는 문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서는 문법과 교육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면서, 한국어교육의 시각에서 문법 항목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 문법의 교수 방안을 다루고자 했다. 또한 그간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한 누적된 논의들을 되짚어 정리하여 그 쟁점들을 담아보고자 하였다.
본서는 크게 3부로 나누었는데, 문법 교육론에 대한 개괄적 논의와 문법 항목별 교수의 내용, 그리고 문법 교수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1부인 문법 교육론의 개괄에서는 언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의 목표와 방향성을 다루었고, 문법의 내용이 되는 한국어의 특성과 언어교육에서의 문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2부에서는 문법 항목별 문법 교육의 내용을 다루었다. 품사의 문법적 기능과 교수 방안 문법 범주별 교수의 쟁점을 다루었다. 교수의 내용과 실제는 조사 교수와 어미 교수, 문장 구성과 문법 교수, 문법 항목별 교수를 차례로 다루었다.
3부에서는 문법 교수 활동을 다루었는데, 문법 교수의 원리와 절차,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에 대해 사리고, 이어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의사소통 기능과 문법, 그리고 교실에서의 문법 활동과 문법 평가를 다루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어 문법 교육론을 집필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급증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문법 교수에 대한 다양한 시각 속에서 정리된 단행본의 형태로 문법 교육론을 출간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문법의 내용을 다루는 문법론과 구분되면서도, 이론 문법이나 내국인 대상의 교육 문법과 구분하는 일이 누적된 연구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외국어의 학습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사람과 소통하고 다양한 생각들을 접하게 되는 일은 한 언어에만 갇힐 수 있는 사고력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며, 언어를 통해 사고의 다양성을 얻게 되는 일이다. 따라서 언어를 배우는 것은 단순히 단어의 수나 문법 항목의 수를 확장하는 일은 아니며,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는 일일 것이다. 이런 면에서 문법의 교수는 의사소통 기능과 분리해서는 안 되며, 언어 사용의 구체적인 상황 맥락과 연계되어 교수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법은 실제 언어의 사용에서 정확성뿐만 아니라 상황별 사용 적절성을 갖출 수 있는 문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서는 문법과 교육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면서, 한국어교육의 시각에서 문법 항목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 문법의 교수 방안을 다루고자 했다. 또한 그간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한 누적된 논의들을 되짚어 정리하여 그 쟁점들을 담아보고자 하였다.

본서는 크게 3부로 나누었는데, 문법 교육론에 대한 개괄적 논의와 문법 항목별 교수의 내용, 그리고 문법 교수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1부인 문법 교육론의 개괄에서는 언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의 목표와 방향성을 다루었고, 문법의 내용이 되는 한국어의 특성과 언어교육에서의 문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2부에서는 문법 항목별 문법 교육의 내용을 다루었다. 품사의 문법적 기능과 교수 방안 문법 범주별 교수의 쟁점을 다루었다. 교수의 내용과 실제는 조사 교수와 어미 교수, 문장 구성과 문법 교수, 문법 항목별 교수를 차례로 다루었다.

3부에서는 문법 교수 활동을 다루었는데, 문법 교수의 원리와 절차,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에 대해 사리고, 이어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의사소통 기능과 문법, 그리고 교실에서의 문법 활동과 문법 평가를 다루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문법교육론 개괄
1강.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교육
1. 문법 교육의 필요성
2. 이론문법과 한국어교육 문법
3.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4. 의사소통과 문법
2강. 한국어의 문법의 특성
1. 한국어의 특성
2. 한국어교육 문법의 특성
3.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사
4. 한국어 문법 교육의 쟁점
3강. 문법 교수 이론
1. 외국어 교수 이론의 변천과 문법 교육
2. 문법 이론과 언어교육
3. 문법 교수 이론의 적용
Ⅱ. 문법 교육 항목에 따른 문법 교육의 내용
4강. 품사별 문법 교수
1. 품사별 교수의 의미
2. 품사의 정의 및 분류 기준
3. 품사별 교수 방안
5강. 문법 요소별 교수 방안
1. 대우 표현 교수
2. 사동, 피동 표현 교수
3. 시제 표현 교수
4. 부정 표현 교수
6강. 조사 교수의 내용과 방법
1. 조사 교수의 필요성
2. 조사에 대한 언어 정보
3. 주요 조사의 교수 방안
7강. 문장 구성과 문법 교수
1. 어미와 문장 구성
2. 어미의 형태적 제약과 문법 교수
3. 선어말 어미 교수
4. 어말 어미 교수
8강. 문법 항목별 문법 교수
1. 문법 항목의 정보
2. 유사 문법 항목의 목록
3. 동일 의미군 비교 교수
Ⅲ 문법 교수 활동
9강. 문법 교수의 원리 및 절차
1. 문법 교수의 원리
2. 문법 교수의 방법
3. 문법 교수의 절차와 단계
4. 숙달도별 문법 교수 모형
10강. 교육용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1. 문법 항목의 등급화의 원리
2. 한국어 교육용 문법 항목의 선정
3. 교육용 어미 선정의 쟁점
11강 의사소통 기능과 문법
1. 이해와 표현으로서의 문법 교수
2. 말하기 듣기와 문법 교육
3. 읽기와 문법 교육
4. 쓰기와 문법 교육
12강. 문법 교재와 교실 활동
1. 교재 속 문법의 역할
2. 문법 교재의 선정 준거
3. 문법 교재의 단원 구성의 사례
4. 교실의 문법 교수 활동
13강. 문법 평가
1. 문법 평가의 필요성
2. 문법 평가의 요소
3. 숙달도 평가에서의 문법 평가
4. 문법 평가의 사례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