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민족지의 신화
민족지의 신화
저자 : 채백
출판사 : 컬처룩
출판년 : 2022
ISBN : 9791192090108

책소개

민족지 신화는 어디로?
어려울 때일수록 옆을 보고, 뒤를 돌아보아야 한다.
어려움을 이겨낼 지혜는 과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모든 역사적 문제의식은 현재에서 출발하여 현재로 귀결된다.

일제 강점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역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 신문들은 과연 ‘민족지’인가? 한국 언론의 역사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 온 언론학자 채백 교수(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의 신간 ≪민족지의 신화≫는 이 문제를 ‘신화’라는 개념으로 파헤친다. ≪민족지의 신화≫에서는 두 신문에 대한 인식이 민족지에서 친일지로 굴절된 배경을 이른바 ‘민족지 신화’에서 찾는다.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변형되었나
‘민족지 신화’는 일제 강점기에 존재했던 두 신문의 과거사를 ‘민족지’라는 개념으로 평가하는 인식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제 강점기의 두 신문이 식민 지배의 가혹한 탄압에 저항하며 민족의 이익을 대변하며 투쟁한 역사라고 평가하는 인식이다. 해방 이후 반민특위가 해산된 직후부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스스로 민족지 신화를 만들어 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정간 및 폐간당한 역사를 들어 저항하다 탄압을 받은 면으로 부각시켜 스스로를 민족 대표 신문으로 명명해 온 것이다. 그러한 역사는 1970년대 이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두 신문은 더 이상 민족지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책은 창간 100주년이 넘는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역사를 비롯해, 광복 이후에 두 신문의 역사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한다. 일제 강점기 민간지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역사적 평가의 변천 과정은 거의 연구되지 못했다. 친일 청산 문제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오늘날 민족지 신화가 생성되고 굴절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이 책은 이론적 및 실천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민족지 신화는 어디로?

어려울 때일수록 옆을 보고, 뒤를 돌아보아야 한다.

어려움을 이겨낼 지혜는 과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모든 역사적 문제의식은 현재에서 출발하여 현재로 귀결된다.



일제 강점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역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 신문들은 과연 ‘민족지’인가? 한국 언론의 역사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 온 언론학자 채백 교수(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의 신간 ≪민족지의 신화≫는 이 문제를 ‘신화’라는 개념으로 파헤친다. ≪민족지의 신화≫에서는 두 신문에 대한 인식이 민족지에서 친일지로 굴절된 배경을 이른바 ‘민족지 신화’에서 찾는다.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변형되었나

‘민족지 신화’는 일제 강점기에 존재했던 두 신문의 과거사를 ‘민족지’라는 개념으로 평가하는 인식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제 강점기의 두 신문이 식민 지배의 가혹한 탄압에 저항하며 민족의 이익을 대변하며 투쟁한 역사라고 평가하는 인식이다. 해방 이후 반민특위가 해산된 직후부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스스로 민족지 신화를 만들어 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정간 및 폐간당한 역사를 들어 저항하다 탄압을 받은 면으로 부각시켜 스스로를 민족 대표 신문으로 명명해 온 것이다. 그러한 역사는 1970년대 이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두 신문은 더 이상 민족지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책은 창간 100주년이 넘는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역사를 비롯해, 광복 이후에 두 신문의 역사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한다. 일제 강점기 민간지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역사적 평가의 변천 과정은 거의 연구되지 못했다. 친일 청산 문제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오늘날 민족지 신화가 생성되고 굴절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이 책은 이론적 및 실천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서론
1. 두 장면: 신화의 몰락?
2. 일제 강점기 민간지의 간추린 역사

2장 민족지 신화의 태동
1. 미군정기의 친일 청산 논의
2. 반민특위의 출범에서 해산까지
3. 민족지 신화의 태동

3장 민족지 신화의 생성
1. 창간 기념호를 통한 〈동아일보〉의 민족지 신화 생성
2. 창간 기념호를 통한 〈조선일보〉의 민족지 신화 생성

4장 민족지 신화의 확산과 정착
1. 일제 강점기 민간지 역사에 대한 언론학계의 논의
2. 사사를 통한 민족지 신화의 강화
3. 언론인의 회고와 전기를 통한 민족지 신화의 강화
4. 민간지 주체들의 전기를 통한 민족지 신화의 강화
5. 다른 신문들에 나타난 일제 강점기 언론에 대한 인식
6. 각급 학교 교과서를 통한 민족지 신화의 정착
7. 일반인의 일제 강점기 언론에 대한 인식

5장 민족지 신화에 대한 비판
1. 최민지의 《일제하 민족언론사론》
2. 학계의 비판적 연구 활성화

6장 민족지 신화의 굴절
1. 1985년의 ‘민족지’ 논쟁
2. 6월 항쟁 직후의 민족지 신화 비판
3. 시민 사회의 활성화와 민족지 신화의 굴절
4.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태도 변화

7장 민족지 신화는 어디로?
1. 민족지 신화의 어제와 오늘
2. 민족지 신화는 어디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