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대응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대응
저자 : 정진화|손상희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5
ISBN : 9788952117267

책소개

그동안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는 개괄적인 현상분석이거나 특정사항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 위주였고, 소득과 소비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연구는 없었다. 또한 성별 비교분석이나 여성에 특화된 연구도 드물었다. 이 책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에서의 경제적 적응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현황과 관련 지원제도를 정리하고, 특히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소득, 소비지출행태와 소비생활적응을 분석한다. 또한 이를 통해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과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높이고 지원정책이 성과를 높이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그동안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는 개괄적인 현상분석이거나 특정사항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 위주였고, 소득과 소비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연구는 없었다. 또한 성별 비교분석이나 여성에 특화된 연구도 드물었다. 이 책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에서의 경제적 적응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현황과 관련 지원제도를 정리하고, 특히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소득, 소비지출행태와 소비생활적응을 분석한다. 또한 이를 통해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과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높이고 지원정책이 성과를 높이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북한이탈주민 중에서도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인원 수는 훨씬 많으나 취업이나 소득 면에서 훨씬 취약하고, 가계소비의 책임자로서 소비생활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녀양육 부담과 여성에 대한 암묵적 차별 등으로 경제활동에 있어 추가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활동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이들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취업과 소득 및 소비가 서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변수들의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책은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소득 및 소비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이들의 경제적 적응 현황과 관련 요인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 등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며, 경제적 적응의 개념과 측정 및 관련 요인들에 관한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선행연구들과 관련 통계자료를 기초로 북한이탈주민 전체의 정착 현황과 관련 지원제도를 살펴본다.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추이 및 인적 구성 등 일반 현황에 이어, 취업과 직업훈련, 임금수준 및 가구소득, 소비 및 생활 수준 등 경제적 적응 현황을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지원 현황과 성과를 예산과 제도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제3장에서는 여성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의 내용과 방법을 설명하고, 조사 결과 나타난 응답자들의 주요 특성을 제시한다. 응답자 특성은 연령이나 가족관계와 같은 일반적 특성, 교육수준이나 직업훈련과 같은 인적자본, 인적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또한 주요 지원제도의 이용실적과 유용성을 비교한다.
제4장에서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을 취업과 소득 측면에서 살펴본다.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현황과 일자리특성, 근로소득과 가구소득, 생활만족도 등을 점검하고, 각각의 결정요인을 여성 북한이탈주민 개인의 일반적 특성과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변수로 나누어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지출행태와 소비생활적응을 다룬다. 소비지출 및 저축과 부채 등을 중심으로 소비지출행태를 파악하고 그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또한 소비생활적응 척도를 개발하여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소비생활적응의 영역별 수준에 따라 여성 북한이탈주민을 유형화하고 소비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6장에서는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여성 북한 이탈주민의 취업역량 강화와 소득증대 및 소비생활적응 촉진과 삶의 질 제고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 지원 인프라 등의 측면에서 도출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서론: 북한이탈주민, 그리고 여성

1. 연구배경

2. 연구내용

3. 연구 모형과 방법



제2장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현황과 지원제도

1. 북한이탈주민의 입국 현황과 인적 구성

2.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정착 현황

3. 북한이탈주민 지원제도



제3장 여성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기초분석: 응답자 특성



제4장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소득

1.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2.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득

3.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

4. 맺음말



제5장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과 적응

1.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지출행태

2.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3.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만족도

4. 맺음말



제6장 결론: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과 과제

1. 분석결과 종합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