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섬마을, 공동체와 공유재산 (비진도 내항 마을 민족지)
섬마을, 공동체와 공유재산 (비진도 내항 마을 민족지)
저자 : 박정석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20411
ISBN : 9788928517251

책소개

우리의 과거이자 미래인 마을공동체를 기억하다

이 책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 내항 마을의 민족지(ethnography)이다. 전통적으로 섬마을 사람들의 중요한 삶의 원천이자 공동체의 근간이었던 공유재산, 즉 지선어장의 경제적 가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바다 환경의 변화와 해산물의 가치 하락은 다른 차원에서‘ 공유재산의 비극’을 불러왔다. 공유재산의 가치 하락으로 마을의 전통적 기능과 역할이 크게 위축되면서 공동체로서의 마을은 단순한 거주 공간으로 전락할 지경에 이르렀다.

섬마을, 共同體와 公有財産 比珍道 內港 마을 民族誌 섬이라는 제한된 환경과 생존조건 속에서 재난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집단 전체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이 다. 섬마을에서 공동체의 근간은 공유재산 제도이다. 공유재산 관리의 성공과 실패는 잠재적 이용자들을 배제하는 배타성과 공동사용자들의 이용을 통제하는 사회적 제도의 기능과 역할에 달려 있다. 사회적 규범의 존재와 효율적인 운용은‘ 사회적 자본’의 형태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게끔 하고 다른 방식의 행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의 과거이자 미래인 마을공동체를 기억하다



이 책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 내항 마을의 민족지(ethnography)이다. 전통적으로 섬마을 사람들의 중요한 삶의 원천이자 공동체의 근간이었던 공유재산, 즉 지선어장의 경제적 가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바다 환경의 변화와 해산물의 가치 하락은 다른 차원에서‘ 공유재산의 비극’을 불러왔다. 공유재산의 가치 하락으로 마을의 전통적 기능과 역할이 크게 위축되면서 공동체로서의 마을은 단순한 거주 공간으로 전락할 지경에 이르렀다.



섬마을, 共同體와 公有財産 比珍道 內港 마을 民族誌 섬이라는 제한된 환경과 생존조건 속에서 재난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집단 전체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이 다. 섬마을에서 공동체의 근간은 공유재산 제도이다. 공유재산 관리의 성공과 실패는 잠재적 이용자들을 배제하는 배타성과 공동사용자들의 이용을 통제하는 사회적 제도의 기능과 역할에 달려 있다. 사회적 규범의 존재와 효율적인 운용은‘ 사회적 자본’의 형태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게끔 하고 다른 방식의 행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장 서론

2장 마을 현황
1. 지리적 위치
2. 유래와 역사
3. 마을의 인구
4. 농업과 어업
5. 공식적 조직

3장 자연환경과 세시풍속
1. 자연과 인간
2. 자연환경
3. 세시풍속

4장 친족집단과 계 조직
1. 사회구조
2. 친족집단
3. 계 조직
4. 마을 내혼

5장 동제와 별신제
1. 마을 제의
2. 동제
3. 별신제

6장 학교와 선창
1. 문화 전승과 어업활동
2. 학교
3. 선창

7장 지선어장과 어촌계
1. 공유재산과 마을공동체
2. 어촌계 설립과 지선분쟁
3. 어촌계 직영화와 공동규제

8장 어선어업과 양식어업
1. 경쟁과 공생
2. 어선어업
3. 양식어업

9장 마을 정치와 사회관계
1. 지배 세력과 이장
2. 1960년 이전
3. 1960~1980년
4. 1980년대

10장 마을과 국가
1. 마을, 국가의 하부조직
2. 면리面里제와 이장
3. 어촌계와 어촌계장
4. 새마을운동과 새마을지도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