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선시대 조보 연구 (우리나라 전통신문)
조선시대 조보 연구 (우리나라 전통신문)
저자 : 차배근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221010
ISBN : 9788952131515

책소개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보(朝報)‘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조선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신문현상인 ’조보‘에 대해 연구한 첫 단행본 학술서.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은 749건의 조보관계기사 가운데 실제로 조선시대 신문현상인 조보에 대해 다룬 447건의 실록 기사를 통해 조보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그렸다. 또한 이 책에서는 현재까지 조보에 대해 이루어진 방대한 양의 선행연구와 조선왕조실록의 조보관계기사를 통해 우리나라 신문의 원형(原形)인 조보에 대해 더욱 깊이 탐구한다. 저자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에서는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존하는 조보의 실물과 조선왕조실록에서 조보라는 신문현상에 대해 다룬 기사들을 통해 조보의 실체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조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신문현상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우리나라 신문의 원조(元祖) 내지 원형(原型)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그간 이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들 선행연구들을 보면,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 듯”한 감이 없지 않았으며, 무엇보다 그에 관한 사료(史料)들이 실증적이기보다는 전언적(傳言的)인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실증적 사료를 사용하여 조보에 관한 전체적 그림을 그려 보겠다고 감히 돈키호테식 만용(蠻勇)을 부렸다. 그러나 조보의 실물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을뿐더러, 남아 있는 것들도 대부분이 조선조 후기의 것들이었다. 이들이 전체 조보를 대표한다고 하기는 어렵기에 그 대안으로 생각한 것이 바로 조선왕조실록에서 조보에 관한 기사들을 모두 찾아내서 이들을 서로 짜 맞추어서 조보에 관한 전체적 그림을 그려 보겠다는 것이었다.

조선왕조실록은 1392년 태조부터 1863년 철종까지 긴 세월에 걸쳐 쓰여진, 방대한 자료이면서도 정확성과 객관성이 뛰어난 기록 유산으로서 한국사 연구의 기본 사료가 된다. 따라서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조보(조지 ·저보 ·기별 ·난보 ·경보 ·소보 ·분발 등 다른 명칭 모두 포함)에 관한 것을 검색해 보았더니 모두 749건이 나왔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 실제로 조보관계기사는 447건이었다. 이들 조보관계기사를 모두 프린트해서 읽어 나가면서 마치 퍼즐 그림을 맞추어 나가듯이 이 책을 써 보았다. -머리말 가운데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서론: 우리나라 신문의 원조와 조보

제1절 우리나라 신문의 원조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 
1) 1930년대 이전 신문·잡지에서의 언급들 
2) 1930년대에 우리나라 신문의 원조에 관한 여러 견해들 
3) 광복 이후 우리나라 신문의 기원에 관한 여러 견해들 

제2절 우리나라 신문의 원조로서의 조보
1) 신문이 갖추어야 할 필요조건들 
2) 우리나라 신문의 기원으로서 조보의 타당성 

제3절 우리나라 조보에 관한 그간의 연구실태
1) 민간인쇄조보에 관한 이이·박제가·이긍익 등의 논급 
2) 조보에 관한 꾸랑·유길준·황현의 소개와 논급 
3) 일제강점기에 조보에 관한 소개와 논급 
4) 광복 이후 각종 저서들에서 조보에 관한 소개와 논의 
5) 한국신문전사(前史)에 관한 글에서 조보에 관한 논의 
6) 조보의 기원과 실태 및 유사물에 관한 박정규의 연구들 
7) 조보에 관한 차배근의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들 
8) 조보 관련 쟁점들에 관한 김영주의 연구 
9) 서지학·문헌정보학·기록학 분야에서 조보에 관한 연구 
10) 국사학계에서 조보에 관한 연구들 
11) 한문학계에서 조보의 유통에 관한 유영옥의 연구 
12) 북한에서 조보에 관한 연구와 기술 
13) 조보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요약과 주요 문제점 

제4절 이 책의 주요 목적과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우리나라 조보에 관한 의문점들과 연구문제 
2) 조보에 관한 1차 사료원(史料源)의 조사와 그 실태 
3) 조보에 관한 2차 사료원으로서 조선왕조실록 
4) 이 책의 구성 체재의 개관 

제2장 조보의 여러 가지 명칭과 유사물

제1절 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여러 가지 명칭들의 개관
1) 조보의 여러 가지 명칭들에 대한 견해 
2) 실록에서 검색해 본 조보 관련 명칭들의 출현 건수 
3) 조보와 조지는 동의어로 서로 혼용 
4) 저보도 조보의 별칭 중 하나로 많이 사용 
5) 기별도 조보의 별칭 중 하나임이 분명 
6) 난보는 조보의 별칭이나 경보와 소보는 알 수 없어 
7) 분발은 조보의 별칭이 아니라 그 호외인 속보지 

제2절 저보(邸報)의 유래와 실록에 나타난 실체
1) 중국에서 ‘저보’의 생성·발전과 소멸 
2) 우리나라 ‘저보’ 제도와 명칭의 중국 유래설 
3) 저보는 조보의 별칭인가, 다른 신문현상인가 
4) 결언: 저보는 조보의 별칭임이 거의 분명 

제3절 기별(奇別)의 유래와 실록에 나타난 실체
1) 각종 사전들에서 기별 또는 기별지의 뜻풀이 
2) 기별지의 정체에 관한 학자들의 두 가지 견해 
3) 실록에서 기별지에 관한 기사들의 개관 
4) 실록을 통해 본 기별지의 실체 

제4절 난보( 報)의 유래와 실록에 나타난 그 실체
1) 조보의 속칭으로서 ‘난보’라는 명칭의 유래 
2) 실록에 나타난 난보에 관한 기사들의 실례 
3) 난보의 정체에 대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 

제5절 경보(京報)의 유래와 실록에 나타난 그 정체
1) 경보관계기사 14건 중 우리나라 경보에 관한 것은 0건 
2) 연세대학교 소장 경보의 실체는 무엇인가? 
3) 중국에서 ‘경보’의 기원과 성격 및 발전과 쇠퇴 
4) 청나라 ‘경보’와 연세대학교 소장 경보와의 관계

제6절 소보(小報)의 유래와 실록에 나타난 그 정체
1) 실록에 검색건수 35건 중 실제 소보관계기사는 28건 
2) 소보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들 
3) 실록 기사들을 통해 본 소보의 정체 
4) 소보는 각사(各司)에서의 내부적 관보였던 듯 
5) 실록 기사들에 나타난 소보의 주요 내용 
6) 소보의 정체와 기능 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제7절 조보의 호외(號外)로서 분발의 기원과 특성
1) 실록 기사들에 나타난 분발의 실태 
2) 각종 문헌들을 통해 본 분발의 실체와 특성 

제8절 그 밖의 조보유사물들의 실체에 관한 고찰
1) 조보의 기타 여러 가지 별칭들과 그 어원 
2) 조보의 유사물들과 그 명칭에 관한 고찰 

제3장 신문의 기원과 우리나라 조보의 기원

제1절 우리나라 조보의 기원에 관한 세 가지 학설
1) 신라시대 기별로부터 기원설 
2) 중국 언론문물제도의 이입설 
3) 우리나라 기별지에 중국 저보·조보의 접목설 

제2절 서양에서 신문의 기원과 생성
1) 고대 로마에서 최초의 신문 「악타」의 출현 
2) 「악타 세나투스」와 「악타 디우르나」의 여러 형태 
3) 「악타 세나투스」와 「악타 디우르나」의 주요 내용 
4) 「악타 세나투스」와 「악타 디우르나」의 배포 방법과 범위 
5) 「악타 세나투스」와 「악타 디우르나」의 존속 기간 
6) 「악타 디우르나」의 소멸과 그 이후의 신문 실태 

제3절 중국에서 신문의 기원과 발달 과정
1) 중국에서 동양 최초의 신문현상 ‘저보’ 출현 
2) 당(唐)나라의 건국과 저보의 재생·발전 
3) 송(宋)나라 때 관보로서 저보의 변모 
4) 명(明)나라 때 저보의 회생과 발전 
5) 청(淸)나라 때 저보의 소멸과 서양언론문물의 이입 

제4절 실록을 통해 본 우리나라 조보의 세 가지 기원설
1) 신라시대 기별로부터의 기원설의 타당성 검토 
2) 중국으로부터 이입설의 타당성 검토 
3) 우리나라 기별지에 중국 저보·조보 접목설의 타당성 검토 
4) 우리나라 조보의 세 가지 기원설에 대한 결언 

제5절 우리나라 민간신문의 기원과 전말(顚末)
1) 우리나라 민간신문의 기원에 관한 언론사학자들의 견해 
2) 실록에 나타난 민간인쇄조보에 관한 기사 내용 
3) 민간인쇄조보에 관한 율곡과 이긍익 등의 논평 
4) 민간인쇄조보의 언론사적 주요 의의 

제4장 우리나라 조보의 존속 실태와 소멸

제1절 실록을 통해 본 조보의 존속 기간 개관

제2절 중종 시기(1506-1544)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과 중종실록 
2) 중종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존속 실태 

제3절 명종 시기(1545-1567) 조보의 존속 실태

제4절 선조 시기(1567-1608)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4대 임금 선조와 선조실록 
2) 임진왜란 이전(1567-1592) 조보의 존속 실태 
3) 임진왜란 동안(1592-1598) 조보의 존속 실태 
4) 임진왜란 이후(1598-1608) 조보의 존속 실태 

제5절 광해군 시기(1608-1623)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5대 임금 광해군과 광해군일기 
2) 광해군일기중초본에 나타난 조보의 존속 실태 

제6절 인조 시기(1623-1649)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6대 임금 인조와 인조실록 
2) 인조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독자와 내용 
3) 조보 담당자들에 대한 통제와 조보의 활용

제7절 효종 시기(1649-1659)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7대 임금 효종과 효종실록 
2) 효종실록을 통해 본 조보의 존속 실태 

제8절 현종 시기(1659-1674)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8대 임금 현종과 현종실록 
2) 현종 시기에 나타난 조보의 존속 실태 

제9절 숙종 시기(1674-1720)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19대 임금 숙종과 숙종실록 
2) 숙종실록을 통해 본 조보의 존속 실태 
3) 청나라 조보·당보의 유입과 일본 조보에 대한 언급 

제10절 경종 시기(1720-1724)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20대 임금 경종과 경종실록 
2) 경종실록을 통해 본 조보 발행 실태 
3) 임금의 비지(批旨)를 위조한 가짜 조지도 등장 

제11절 영조 시기(1724-1776)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와 영조실록 
2) 독자들을 통해 본 영조 시기 조보의 존속 실태 
3) 조보의 여러 가지 주요 내용들의 실태 
4) 조보의 주요 기능 및 영향력과 전파력 

제12절 정조 시기(1776-1800)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와 정조실록 
2) 독자들을 통해 본 정조 시기 조보의 존속 실태 
3) 주요 내용들을 통해 본 조보의 존속 실태 
4) 조보 내용들의 취사선택과 그에 대한 통제 
5) 정조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주요 기능 
6) 정조실록 기사들을 통해 본 조보의 효과 
7) 조보의 존속 실태에 관한 기타 사항들 

제13절 순조 시기(1800-1834)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23대 임금 순조와 순조실록 
2) 순조실록을 통해 본 조보의 존속 실태

제14절 철종 시기(1849-1863)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25대 임금 철종과 철종실록 
2) 철종실록을 통해 본 조보의 발행 실태

제15절 고종 시기(1863-1907) 조보의 존속 실태
1) 조선 제26대 임금 고종과 고종실록 
2) 조보를 조정의 공보매체로 적극 활용 
3) 고종 시기 조보의 독자들과 주요 내용 
4)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보수를 위한 사료로써 조보의 활용

제16절 갑오개혁에 따른 조보의 소멸과 그 이후
1) 우리나라 조보의 소멸 시기와 소멸 이유 
2) 관보국의 설치와 ‘신식 관보’의 발행 
3) 우리나라 조보와 근대신문과의 관계 
4) 「한성순보」와 「한성주보」의 폐간 이후 우리나라 신문 사정 

제5장 우리나라 조보에 관한 신문학적 종합분석

제1절 조보의 발행 목적과 발행기관에 관한 분석·고찰
1) 실록 기사들에 나타난 조보의 여러 가지 발행 목적 
2) 조보의 발행기관으로서의 승정원 
3) 조보의 제작·발행 과정과 네 가지 버전 
4) 조보 원본의 편집·제작자들과 분장 업무 
5) 조보의 편집·제작자들의 직무에 관한 규제와 문책 

제2절 조보의 메시지에 관한 분석·고찰
1) 조보의 기본 형태·편집 체재와 사용문자 
2) 조보에 게재할 내용의 취사선택과 통제 
3) ‘조보에 내지 말라’는 내용들과 그 사례 
4) 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주요 내용과 그 실태 
5) 조보의 내용 중 천재와 이변에 관한 기사에 대한 고찰 

제3절 조보의 전달·배포·유포 채널에 관한 분석·고찰
1) 조보의 전달·배포·유포 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들 
2) 조보의 각 버전에 따른 전달·배포·유포 방법 
3) 오리지널 버전(원본) 조보의 게시 방법 
4) 기별서리 버전 조보의 등사와 전달·배포 방법 
5) 경주인 버전 조보의 전달·배포 채널 
6) 무단필사 버전 조보의 전달·유포 채널

제4절 조보의 독자들에 관한 분석·고찰
1) 임금과 세자·황후·왕자 등도 조보의 독자 
2) 중앙과 지방의 각 관아에서도 조보를 구독 
3) 조보를 본 독자들 중 관리들의 실태 
4) 관리들 이외에 실록에 나타난 조보 독자들의 실태 
5) 독자들이 조보를 본 장소와 시간 

제5절 조보의 기능과 효과에 관한 분석·고찰
1) 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여러 가지 주요 기능 
2) 실록에 나타난 조보의 효과와 영향력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