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고양이 한국 문학 (한국 문학을 종단하는 고양이들)
고양이 한국 문학 (한국 문학을 종단하는 고양이들)
저자 : 이재선
출판사 : 서강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8
ISBN : 9788972733508

책소개

고양이를 테마로 한 비유 상징의 문학을 살펴본다.

고양이는 오래 전부터 쥐를 잡는 특별한 능력 때문에 유익하고 가치 있는 동물로서 인간과 더불어 동반 관계로서 공서한 이래로 점점 애완동물이 되었고 현재는 개 이상으로 가장 가깝고 사랑스럽고 친근한 반려가 되고 외롭거나 홀로 사는 독신자들의 가족적 동반 동거동물로서의 인기가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 고양이는 사이버공간을 채워간다. 그런가 하면, 이러한 애묘 현상과는 반대로 사람에 따라서는 고양이는 영물이나 마물로서 혐오와 두려움의 부정적 대상이 되기도 한다. 나는 이제껏 한 번도 고양이를 키워 본 적이 없다. 현재도 고양이를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애증(愛憎)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 중립 상태이다. 이런 처지에 있으면서 문학 속의 고양이를 언급하다니 이는 분명코 기이하거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많고 많은 대상 중에 하필 왜 고양이에 관해서 쓰냐고 지적하는 이들도 없지 않다. 분명히 말하자면 이 작업은 단순한 고양이 연구가 아니라 고양이가 우리의 문화 및 의식체계와 한국 문학 속에 각인되어 있는 여러 상징체계와 의미를 살피거나 추구해 보는 한국 문학의 동물상징론이자 인문학적 작업의 일환이다. 즉 한국 문학의 상상력에서 동물로서의 고양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하는 동물의 문학성 및 문학적 동물학인 동시에 그 상징적인 계보에 대한 살핌이고자 한다.
고려 시대의 문학에서 21세기의 당대 문학에 이르기까지를 고양이를 종단적으로 그리고 총체적으로 살피면서 고양이 문학으로서의 성격을 살펴보고 한국사람은 고양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체계적으로 해석해 보려는 작업의 결산 보고서이다.
다양한 테마가 아니라 고양이라는 단일한 하나의 테마를 중심으로 고전 문학의 영역인 설화 문학·한시·제화시·응제시 등의 시, 가전(假傳) 서사·회화·민속적 속신·백과전서 등에 관련된 비유·상징 알레고리에서 비롯해서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전 장르를 두루 대상화 한 작업이다. 따라서 이 작업으로 해서 한국 문학 전반에 있어서 고양이 문학의 현상과 특성을 90여 편이나 찾아서 처음으로 집중적으로 그리고 분명할 정도로 가시화할 수 있게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고양이는 오래 전부터 쥐를 잡는 특별한 능력 때문에 유익하고 가치 있는 동물로서 인간과 더불어 동반 관계로서 공서한 이래로 점점 애완동물이 되었고 현재는 개 이상으로 가장 가깝고 사랑스럽고 친근한 반려가 되고 외롭거나 홀로 사는 독신자들의 가족적 동반 동거동물로서의 인기가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 고양이는 사이버공간을 채워간다. 그런가 하면, 이러한 애묘 현상과는 반대로 사람에 따라서는 고양이는 영물이나 마물로서 혐오와 두려움의 부정적 대상이 되기도 한다. 나는 이제껏 한 번도 고양이를 키워 본 적이 없다. 현재도 고양이를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애증(愛憎)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 중립 상태이다. 이런 처지에 있으면서 문학 속의 고양이를 언급하다니 이는 분명코 기이하거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많고 많은 대상 중에 하필 왜 고양이에 관해서 쓰냐고 지적하는 이들도 없지 않다. 분명히 말하자면 이 작업은 단순한 고양이 연구가 아니라 고양이가 우리의 문화 및 의식체계와 한국 문학 속에 각인되어 있는 여러 상징체계와 의미를 살피거나 추구해 보는 한국 문학의 동물상징론이자 인문학적 작업의 일환이다. 즉 한국 문학의 상상력에서 동물로서의 고양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하는 동물의 문학성 및 문학적 동물학인 동시에 그 상징적인 계보에 대한 살핌이고자 한다.

고려 시대의 문학에서 21세기의 당대 문학에 이르기까지를 고양이를 종단적으로 그리고 총체적으로 살피면서 고양이 문학으로서의 성격을 살펴보고 한국사람은 고양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체계적으로 해석해 보려는 작업의 결산 보고서이다.

다양한 테마가 아니라 고양이라는 단일한 하나의 테마를 중심으로 고전 문학의 영역인 설화 문학·한시·제화시·응제시 등의 시, 가전(假傳) 서사·회화·민속적 속신·백과전서 등에 관련된 비유·상징 알레고리에서 비롯해서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전 장르를 두루 대상화 한 작업이다. 따라서 이 작업으로 해서 한국 문학 전반에 있어서 고양이 문학의 현상과 특성을 90여 편이나 찾아서 처음으로 집중적으로 그리고 분명할 정도로 가시화할 수 있게 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ㅡㅡㅡ V

1부 고양이의 문학 주제학 : 고전 문학편

1장 프롤로그 : 한국 문학 속의 고양이 그 상징 동물학 3

2장 고양이의 설화학 : 민속 전래적 선악의 스토리텔링 15

3장 고양이를 품은 한시(漢詩)의 시적 공간 31

4장 지식의 종합적 지도 백과전서 속의 고양이들 76

5장 고양이 가전(假傳) 서사의 의인 시학과 우의성 87

6장 조선 시대의 고양이 그리기 :고양이의 회화로 102

7장 고양이의 민속학 : 속신(俗信)과 민간 습속의 포오크로아 116



2부 고양이 문학 : 현대 문학 125

1장 고월(古月) 이장희와 '푸른 고양이情猫) 시대 125

2장 현대 소설의 공간 속으로 고양이 들어오다 152

3장 한용운의 시 속에 숨은 세개의 고양이 이미지 175

4장 관능의 고양이와 약탈의 고양이 189

5장 비유(trope)로서 부호화된 고양이 201

6장 황순원 소설의 고양이 모티프 218

7장 파란 요기로 응시하는 고양이의 눈 : 장용학의 r요한시집」 237

8장 고양이의 시적 트로폴로지 : 서정주, 김기림 . 유치환·김억·김수염의 경우 248

9장 3인의 여성 작가가 그린 고양이 상(像) : 장덕조·박경리·한말숙의 고양이 263

10장 증묘(蒸猫)라는 기속의 문학 풍경 둘 : 김문수와 박양호의 소셜 282

11 장 오정희의 소설 공간 속의 고양이 301

12장「흑묘일기」: 암코양이와 숫코양이 대 남녀의 연애관계 323

13장 전경린 소설의 고양이 애니멀리즘 329

14장 음성 상징과 운명으로서의 고양이 : 이영현의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소설 351

15장 양모(養猫)의 고양이와 채팅 아이디(ID)로서의 고양이 361

16장 「퍼즐」과 「묘씨생(猫氏生)」의 고양이 377

17장 이시대 작가들의 고양이 소설 390

18장 동시대 시인들(황인숙·김선우·송찬호·황병승)의 고양이 시 398

19장 고양이 상(像)의 전반적 개요 414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