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학지리학의 이론과 해석 (문학공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할 것인가?)
문학지리학의 이론과 해석 (문학공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할 것인가?)
저자 : 권혁래
출판사 : 서강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22
ISBN : 9788972733782

책소개

문학지리학은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 또는 장소가 실제 지리와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질문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문학 속의 공간과 장소는 문학과 지리학의 교집합에 자리잡고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고 있다. 지리학연구자와 문학연구자는 각각 사회과학자와 인문학자의 정체성을 지니고 상이한 시각으로 문학공간을 해석하고 활용하며, 서로 다른 용어와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문학지리학에서 파악되는 상이한 관점과 연구방법론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정립하기 위해 이 책을 구상하였다. 저자는 이 책에서 첫째, 지리학과 문학 분야에서 문학공간을 연구·분석해온 성과와 연구방법론을 검토하고, 2010년대 이후 관광경영학 및 문화콘텐츠학, 지역문화학 등의 학문 범주에서 시도하고 있는 문학공간의 활용방식에 대해 기술하였다. 둘째, 한국고전문학에서 국내 및 해외 문학공간의 형상화 양상, 문학공간 분석을 활용한 서사연구, 문학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문학지리학은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 또는 장소가 실제 지리와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질문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문학 속의 공간과 장소는 문학과 지리학의 교집합에 자리잡고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고 있다. 지리학연구자와 문학연구자는 각각 사회과학자와 인문학자의 정체성을 지니고 상이한 시각으로 문학공간을 해석하고 활용하며, 서로 다른 용어와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문학지리학에서 파악되는 상이한 관점과 연구방법론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정립하기 위해 이 책을 구상하였다. 저자는 이 책에서 첫째, 지리학과 문학 분야에서 문학공간을 연구·분석해온 성과와 연구방법론을 검토하고, 2010년대 이후 관광경영학 및 문화콘텐츠학, 지역문화학 등의 학문 범주에서 시도하고 있는 문학공간의 활용방식에 대해 기술하였다. 둘째, 한국고전문학에서 국내 및 해외 문학공간의 형상화 양상, 문학공간 분석을 활용한 서사연구, 문학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Ⅴ
Abstract ⅩⅤ
제1부 문학지리학의 관점과 전망 1
제1장 문학지리학의 관점과 연구방법론 2
1. 문학공간과 문학지리학ㆍ2
2. 지리학연구자가 문학공간을 보는 시각ㆍ6
3. 문학연구자가 문학공간을 보는 시각ㆍ27
제2장 문학지리학의 쟁점과 전망 50
1. 연구자 간 교감과 소통의 필요성ㆍ50
2. 용어와 개념 문제ㆍ52
3. 문학공간의 스토리텔링 및 콘텐츠 활용ㆍ55
제3장 문학지리 탐구와 글쓰기 70
1. 장소체험과 글쓰기ㆍ1
2. 문학공간에 대한 문헌조사, 현장조사ㆍ75
3. 영상자료 활용, 지리좌표 기록과 문학지도 제작ㆍ78
제2부 고전문학 속의 도시경관과 장소성
제1장 해로사행록과 등주의 장소성 82
1. 해로사행의 관문, 산동반도 등주(登州)ㆍ82
2. 고려 말 사행시에 그려진 등주 경관ㆍ83
3. 〈조천항해록〉과 등주 경관ㆍ95
81
4. 1630년 정두원의 해로사행과 등주인 김영철ㆍ101
제2장 상업도시 개성과 개성상인 형상 104
1. 개성상인의 희로애락과 내면세계 보기ㆍ104
2. 상업도시 개성의 풍경과 송상에 대한 기억ㆍ110
3. 서사문학 속의 개성상인ㆍ118
4. 학문과 구제사업에 힘쓴 개성상인의 후예와 개성부자ㆍ130
제3장 19세기 말 간도경관과 유민 141
1. 간도와 유민ㆍ141
2. 〈영고탑북정지〉에 그려진 영고탑 여정과 북간도 경관ㆍ144
3. 차사원 김광우가 간도 유민을 바라보는 시선ㆍ159
4. 〈강북일기〉에 그려진 서간도이주민 형상과 중앙정부의 시선ㆍ166
제4장 『조선환여승람』과 영암의 로컬리티 170
1.근대지리지 『조선환여승람』의 출판명분과 상업적 유통ㆍ170
2. 『조선환여승람』 『영암군편』의 향토문화와 향촌인물 수용ㆍ173
3. 연주현씨(延州玄氏) 가문의 대거수록과 현준호ㆍ176
4. 왕인 박사의 영암출생설과 유적지 조성사업ㆍ185
제3부 전란서사와 동아시아 문학공간 193
제1장 〈조완벽전〉의 포로서사와 일본·베트남·바다 194
1. 정유재란 민간인포로가 전하는 해외견문ㆍ194
2. 〈조완벽전〉의 텍스트 분석ㆍ196
3. 조완벽의 해외체험과 해양체험ㆍ205
4. 소설 〈최척전〉의 문학공간에 끼친 영향ㆍ222
제2장 『북정록』을 통해 보는 흑룡강원정의 노정과 경관 230
1. 『북정록』과 흑룡강원정의 현장ㆍ230
2. 흑룡강원정의 일정과 노정ㆍ235
3. ‘회령-목단강’ 구간의 문학지리와 경관ㆍ238
제3장 흑룡강원정서사와 이역인식 257
1. 1658년 흑룡강원정과 『북정록』ㆍ257
2. 새로운 이역, 북해변 러시아군에 대한 인식과 묘사ㆍ261
3. 만주 변방 부족민에 대한 인식과 묘사ㆍ273
4. 청의 북방산하에 대한 인식과 묘사 ㆍ279
제4장 조선후기 전쟁소설과 북부지방의 표상 291
1. 전란과 북부지방의 표상화ㆍ291
2. 의주 피란노정과 관서·관북인들의 호국정신: 〈임진록〉ㆍ295
3. 호란의 기억과 적막한 북방 경관: 〈김영철전〉·〈임경업전〉·〈박씨전〉ㆍ301
4. 정주성 전투 장면과 변방의 반란: 〈신미록〉ㆍ311
제4부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문학지리학적 해석 321
제1장 문학지리학으로 본 심하전투서사의 해석 322
1. 공간의 발견과 심하전투서사ㆍ322
2. 심하전투서사의 공간정보와 문학지도ㆍ325
3. 도강과 진군 노정: 양마전 개활지와 연합군의 숙영ㆍ329
4. 전투의 현장으로 가는 길: 험난한 우모령과 굶주린 군사들ㆍ331
5. 전투의 현장: 부산·부찰 들판의 경관과 강홍립·김응하의 형상화ㆍ335
6. 포로길과 탈출로 : 허투알라성의 경관과 포로서사ㆍ349
제2장 심하전쟁포로 김영철의 귀환서사와 상상된 문학공간 361
1. 상상된 문학공간ㆍ361
2. 건주탈출 노정과 영원성전투ㆍ363
3. 영철의 등주정착과 혼인서사ㆍ373
4. 신미년(1631)의 사행선과 등주탈출ㆍ388
제3장 공간묘사의 빈틈과 〈김영철전〉 서사의 해석 397
1. 참전군인의 인생사를 서사화한다는 것ㆍ397
2. 전란기술과 주인공의 인생변곡을 연결시키는 글쓰기ㆍ401
3. 노정서술과 경관묘사의 빈 틈ㆍ420
4. 참전군인의 고단한 삶과 보상에 대한 문제제기ㆍ427
제4장 〈최척전〉의 이산-귀환서사와 문학지리 430
1. 〈최척전〉의 문학공간과 16·17세기 동아시아 공간ㆍ430
2. 작가의 공간, 조위한과 남원부성ㆍ434
3. 국내공간의 문학지리와 만남-이산의 서사ㆍ437
4. 해외공간의 문학지리와 유랑-귀환의 서사ㆍ453
5. 공간중심의 소설이해와 문학공간 활용방안ㆍ471
제5장 남원선비 최척의 망명서사와 소흥·항주 공간의 상상력 475
1. 중국 강남공간에서 펼치는 안식의 서사475
2. 옥영의 포로길, 최척의 망명길ㆍ478
3. 피신의 공간, 소흥ㆍ480
4. 안식의 공간, 항주ㆍ488
제5부 문학공간을 활용한 콘텐츠전략 501
제1장 흑룡강원정서사와 시각화콘텐츠 502
1. 디지털 공간에서 흑룡강원정서사 재현하기ㆍ502
2. 흑룡강원정서사의 시각화 요소 분석ㆍ505
3. 노정 및 인물관계의 시각화ㆍ514
제2장 〈최척전〉과 지역문화콘텐츠 530
1. 〈최척전〉과 남원ㆍ530
2. 〈최척전〉의 콘텐츠 요소분석ㆍ537
3. 〈최척전〉의 콘텐츠 개발전략ㆍ544
맺음말 559
참고문헌 564
찾아보기 58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