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동생이 안락사를 택했습니다 (가장 먼저 법적으로 안락사를 허용한 나라)
동생이 안락사를 택했습니다 (가장 먼저 법적으로 안락사를 허용한 나라)
저자 : 마르셀 랑어데이크
출판사 : 꾸리에
출판년 : 2020
ISBN : 9788994682372

책소개

7, 80대 고령의 나이도 아니고, 말기암 환자도 아니었다.
자식들이 태어났음에도, 사업가로서 성공했음에도,
고급 주택과 고급 차, 사우나를 갖추고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안락사를 선택한 잘생긴 41세의 남자가 있다.
그런 남자가 왜 안락사를 택했을까?

안락사를 과연 스스로 임종을 준비하면서 삶의 끝자락을 편안하게 맞이하는
삶의 완성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기에
신과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도전으로 볼 것인가.
안락사 찬반 여부를 떠나 우리나라 독자들로서는 불안장애와 우울증 등 정신적 질병과
알코올 중독의 고통을 이겨내지 못하고 41세의 나이로 안락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 최초로 법적으로 안락사를 허용한 나라 네덜란드’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안락사가 이루어지는지를 제대로 들여다볼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네덜란드 안락사법에 관하여 전 세계적으로 무수한 논란과 화제를 불러일으키다

이 책은 언론인인 형 마르셀 랑어데이크가 동생인 마르크 랑어데이크의 안락사를 지켜보며 쓴 에세이다. 41세의 나이에 안락사를 택한 마르크는 겉보기에는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을 살고 있었다. 동생은 잘생겼고, 아들 둘과 아름다운 아내가 있었다. 사업가로도 성공해 고급 주택과 고급 차, 사우나까지 갖추고 살았다. 나이는 불과 마흔한 살이었다. 그런 사람이 왜 안락사를 택했을까?

과연 네덜란드는 “정신적 질환을 앓는 사람”, “우리가 정상적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다른 것을 위해 싸우거나 다른 삶을 살려고 싸우는 사람들”에게 “미끄러운 얼음장”이고 “극도로 위험한 곳”일까?

각 장마다 맨 앞에 배치한 동생의 일기를 통해 안락사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고통과 아픔, 또 그 모습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형의 고통과 아픔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더 이상 약으로도 대처할 수 없는 지독히도 파괴적인 형태의 암을 앓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정신적으로 병이 나서 어떠한 치료법이나 약으로도 대처할 수 없는 사람도 있다. 갖은 방법을 다 써 봐도, 정신과 의사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이 있다. 내 동생이 그런 사람이었다.”



네덜란드의 안락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동생은 몇 가지 복잡한 정신적 장애를 가진 다정하고 매력적이고 착한 남자였다. 다소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고, 불안장애와 우울증, 공감능력 결핍을 가졌으며 결과적으로 알코올 문제가 생겼다. 그는 머리가 병들었고, 두려움과 우울증을 술로 없애려고 했다.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치료될 수 없었다. 그에게 안락사가 승인되었던 이유다.”

안락사의 요건은 아주 엄격하고 최소 두 명의 의사가 요청을 승인해야 한다. 환자가 자발적으로 요청을 해야 하고, 그 요청은 지속적이고 일괄되어야 하며, 환자에게 회복의 가능성이 없고, 정신적 육체적으로 참을 수 없는 고통이 있을 때, 그리고 더 이상 치료의 대안이 없을 때 의사에 의해서 의학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주로 약물 투여) 이루어진다. 환자의 사례에 따라 기간은 다양하지만 마르크의 경우 1년 6개월의 기다림 끝에 시행되었으며(“간절히 죽기를 원한다면 그 시간은 매우 오랜 시간인 것으로 보인다.”) 의사가 약물을 투여한 뒤에는 “모든 것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는지, 또 모든 서류가 정상적으로 작성되었는지 검시관이 이중으로 점검하며, 검시관은 다시 검사에게 통보하고” 그런 다음에야 시신을 옮겨서 장례절차를 밟을 수 있다.



소리 없는 진전과 후퇴를 반복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안락사법

2018년 3월 현재 안락사를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나라는 네덜란드, 벨기에, 콜롬비아, 룩셈부르크, 캐나다이며, 다른 사람이 의도적으로 자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행위를 말하는 조력자살을 허용하는 나라는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호주 빅토리아주 및 미국의 캘리포니아와 메인(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 등 몇몇 주이다.

네덜란드는이미 1973년부터 안락사에 대한 캠페인을 벌여왔으며, 1981년부터 개선의 전망이 없이 참을 수 없는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자발적 안락사와 의사에 의한 조력자살이 이루어졌다. 법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한 것은 2002년 4월 1일, “안락사 및 안락사협조 심의법(Toetsing levensbeeindiging op verzoek en hulp bij zelfdoding)”이 발효된 이후부터이다. 네덜란드 왕립의학협회는 안락사(조력자살 포함)를 “충분한 정보에 입각한 환자의 자발적 요청에 의한 적극적 삶의 종결”로 정의한다. 육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 고통도 안락사의 근거로 인정했다. 12세에서 16세까지는 요청할 수는 있지만 부모의 동의가 있어야 하며, 16세와 17세는 요청할 수는 있지만 부모에게 고지해야 한다. 정신적 고통 안락사는 전체 안락사의 1% 남짓이다.

수십 년을 거치면서 네덜란드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안락사를 수용하는 입장으로 바뀌었으며, 해마다 안락사는 꾸준히 증가해 왔다. 지역안락사위원회(Regionale Toetsingscommissies Euthanasie)에 따르면 2017년 6,685건, 2018년 6,126건으로 전체 사망자의 4% 정도가 안락사를 선택했으며, 안락사를 요청하는 주된사유로는 암이 가장 많고 그 외에 치매 초기 144명, 정신 질환 67명, 다수의 질병이 있는 환자가 205명이었다. 6,126건의 안락사 사례 중 6건과 관련하여 안락사위원회는 의사가 의무 규정을 따르지 않았다고 판결했으며, 처음으로 이 중 한 명이 기소되었다. 네덜란드의사협회는 안락사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일부 종교단체들도 안락사는 신의 결정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반대하고 있다. 여전히 안락사 집행을 거부하는 의사들도 많이 있기에 합법적으로 행해진다고는 하지만 안락사 문제는 소리 없는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고 있다. 삶은 의무가 아니라 선택이라는 사람들과 늙어가고 죽어가는 것은 하나의 축복이라는 사람들 사이에서 보이지 않는 다툼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안락사에 관한 당신의 생각은...

최근 3년간 스위스에서 한국인 두 명이 조력자살 기관의 도움을 받아 ‘원정 안락사’를 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안락사가 법으로 금지돼 있지만 2018년 2월부터 치료 효과 없이 생명만 연장하는 연명 치료를 중단할 수 있게 하는 ‘존엄사법’은 시행 중이다. 존엄사법은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지 않고 자연사의 범주 내에서 연명 치료를 포기한다는 점에서 안락사와는 다르다.

이 책은 죽음과 안락사라는 대단히 무거운 주제를 던지고 있지만 앉은 자리에서 페이지를 휙휙 넘겨가며 읽을 수 있다. 가볍게 넘어가는 페이지와는 반대로 행간은 치열하고 격렬하다.

안락사를 마르크처럼 스스로 임종을 준비하면서 삶의 끝자락을 편안하게 맞이하는 삶의 완성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기에 신과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도전으로 볼 것인가. 이 책이 깊이 고민하고 토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화 _011

제2화 _029

제3화 _049

제4화 _067

제5화 _081

제6화_095

제7화_101

제8화_109

제9화_121

제10화_141

제11화_157

제12화_169

제13화_175

제14화_189

제15화_193

제16화_213

제17화_219

옮긴이의 말_22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

  • TOP